아하
경제

무역

지친하루를견디자
지친하루를견디자

디지털 무역 협정 참여 확대에 따른 무역 실무 변화는 무엇인가요?

DEPA와 같은 디지털 무역 협정에 한국이 창며하면서 전자서명, 데이터이전, 플랫폼 중립성 같은 항목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무역 실무에서는 어떤 전산 시스템과 계약 방식 전환이 필요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저도 정확하게 아는 부분이 없어서 아래와 같이 검색글을 정리하여 알려드립니다.

    한국이 DEPA(디지털 경제 동반자 협정)에 참여하면서 전자서명, 데이터 이전, 플랫폼 중립성 같은 항목이 강조되며, 무역 실무에서 이를 뒷받침할 전산 시스템과 계약 방식의 전환이 필요합니다. 전산 시스템으로는 전자서명을 법적으로 인정받는 디지털 인증 체계를 TMS나 ERP에 통합해 무역 서류(송장, B/L 등)를 전자화하여야 됩니다. 플랫폼 중립성을 준수하려면 클라우드 시스템을 활용해 특정 업체 의존도를 줄이고, 데이터 처리의 공정성을 보장하는 모니터링 툴을 추가로 구축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계약 방식에서는 기존 물리적 계약에서 디지털 계약으로 전환하며, DEPA 모듈 2(전자결제, 무역 촉진)에 따라 e-인보이싱과 e-결제 조항을 포함한 표준 계약서를 마련해야 합니다. 데이터 이전 관련해서는 개인정보 보호와 보안 책임을 명시하고, 플랫폼 중립성을 위해 공급망 내 특정 기술 강제를 배제하는 조항을 추가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디지털 무역협정에 관한 사항은 전자 계약 및 서명이 가능해지고 데이터 이전에 관한 사항이 더 자유로워질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더 많은 발전이 이루어진다면 블록체인 기반 플랫폼의 발전 등이 이루어져 더 효율적인 무역업무 진행이 가능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디지털 무역 협정에 대응하려면 무역 전산 시스템을 전자서명, 전자문서 저장, 데이터 보안 기반으로 전환하고, 클라우드 기반 인프라를 도입해 국가 간 데이터 이전이 원활하도록 준비해야 합니다. 계약 방식도 종이 중심에서 벗어나 플랫폼 기반의 디지털 계약 체계로 전환해 실시간 처리와 검증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