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추각막, RGP렌즈를 맞추는 게 좋을까요?
원추각막 하드렌즈를 맞춰 사용하려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1.
평소에 안경을 주로 끼고 렌즈는 2주에 한번꼴로 씁니다. 눈건강상 이렇게 안경을 주로 사용하고 가끔 일회용렌즈 끼는 것과, 원추각막렌즈를 맞춰서 렌즈를 주로 사용하는 것 중에 무엇이 더 좋을까요?
2.
원추각막전용렌즈가 원추각막 진행 속도 조절에 도움이 되기도 하나요? 원추각막은 각막에 최대한 자극을 주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알고 있는데 아무리 전용렌즈라하더라도 렌즈를 사용하면 자극이 가지 않나요?
3.
하드렌즈를 사용해본 적이 없는데 초반에 이물감이 심해서 적응이 어렵다고 들었습니다. 아무리 껴도 적응이 안되는 경우도 있나요? 이럴 경우 주로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원추각막과 RGP 렌즈에 관한 질문을 주셨군요. 먼저 안경과 렌즈 사용에 관해 이야기해보도록 할까요. 원추각막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안경을 주로 사용하면서 가끔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눈 건강에 더 나을 수 있습니다. 이는 각막에 가해지는 직접적인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이죠. 하지만 RGP 렌즈를 맞춰서 사용하는 것도 한 가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시력 교정에 있어서는 RGP 렌즈가 보다 효과적일 수 있기에, 개인의 생활 패턴과 필요에 맞춰 선택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원추각막 전용 렌즈는 진행 속도 조절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렌즈 착용 자체가 각막에 자극을 줄 수 있어요. 따라서 착용 시간을 잘 조절하고, 렌즈 관리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필요합니다. 전용 렌즈는 각막에 미치는 부하가 덜한 설계로 되어 있지만, 사용에 주의가 필요하다는 점을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하드렌즈의 초기 착용 시 이물감은 일반적인 현상입니다. 처음에는 조금 귀찮게 느껴질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대부분의 사람들은 적응하게 됩니다. 하지만 만약 지속적으로 적응에 어려움을 느낀다면, 렌즈 적합성을 다시 검토하거나, 렌즈의 착용 방식이나 관리 방법을 조정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때로는 다른 유형의 렌즈로의 변경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