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강원도의빠워
강원도의빠워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은 왜 실패했을까요?

19세기말 흥선대원군의 쇄국정책은 어떤의도로 추진되었으며, 결국 외세 유입을 막지 못한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인가요 ?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권기헌 전문가입니다.

    쇄국을 한다는 것 자체가 서양으로부터의 군사력이든 경제력이든 어느 하나라도 이길 수 있는 카드가 있어야 하지만 당시 조선에는 정신력만 있었지 물리력으로 무엇인가를 할 수 있는 상황이 되지 못했습니다. 이웃나라 일본은 메이지유신을 통해서 오히려 적극적으로 변화를 꾀했지만 조선은 성리학이라는 정신적인 승리에 물들어 있었기에 물리적인 어떤 것에는 약한 국가였습니다. 가진 것도 없는데 성격만 있는 사람이 참 골치가 아픈데 이런 것이 조선말이었습니다.

  • 흥선대원군의 통상수교 거부 정책이 실패한 이유는 고종의 친정으로 자신의 의지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는 어려웠습니다. 게다가 당시는 통상개화론이 확산되어 갔습니다. 박규수, 오경석 등의 통상 개화 사상은 개항과 개화의 바탕이 되었습니다. 그리고 흥선대원군의 정치적 기반이 취약한 것도 실패의 원인입니다.

    또한 서구 열강의 압박을 막아낼 수 있을 정도로 조선의 군사력이 견고하지 안았습니다. 특히 메이지유신으로 근대화에 성공한 일본의 운효호 사건을 계기로 강화도 조약을 체결하게 됩니다. 또한 청, 일본 등 주변국도 개항, 근대화의 압력에 굴복한 상황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