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반려동물 건강반려동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1

고양이 혀가 까칠한 이유가 뭔가요?

나이
성별
몸무게
반려동물 종류
고양이
품종
중성화 수술

고양이의 혀는 일반적으로 다른 혀보다, 까끌까끌하게 돼 있던데요.

이런 까끌까끌한 혀를 가지고 있는 이유가 뭔가요? 어떤 역할을 하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박주찬 수의사blue-check
    박주찬 수의사23.01.21

    안녕하세요. 박예찬 수의사입니다.

    고양이들과 호랑이 사자 표범 치타 모두 길고양이 모두 다 혀에 가시가 있어서 다 까칠까칠 한걸로 알고있습니다.

    왜 그렇게 진화된 것은 알 수 없지만 주된 기능은 뼈에 달라 붙은 고기를 효율적으로 발라먹기 위한것인것 같습니다.

    이것은 개인의 추측인데

    개나 곰과에 비해서 고양이과들 주둥이가 짧기도 하고 하악도 생각보다 힘이 강하지 않습니다. 그러다보니 혀에 가시가 발달되어 생존율을 높여주는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아 수의사입니다.

    고양이들 뿐만 아니라 모든 고양이과 동물들(사자, 호랑이, 표범 등)은 모두 까끌까끌한 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고양이과 동물이 혓바늘을 가지고 있는 이유는 섭식 습성으로 인한 것이라는 가설이 있습니다.

    비교해보면 늑대와 같은 개과 동물은 송곳니와 어금니로 씹어서 절단하여 먹지만, 고양이과 동물들은 개과 동물처럼 단단한 어금니를 가지고 있지 않아 뼈를 부셔 먹기보다 살점들을 긁어내듯 핥아 먹습니다. 또한 고양이가 물을 먹을 때 혓바늘이 물과의 접촉 면적을 높혀주어 물을 튀기지 않고 먹을 수 있도록 도와준다고 합니다.

    이러한 혓바늘은 음식을 먹을 때도 도움이되지만, 또 하나 다른 중요한 기능은 바로 그루밍입니다. 일종의 빗 역할을 해주는 혓바늘로 그루밍을 하며 죽은 털을 제거하면서 건강한 털과 피부 상태를 유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수 수의사입니다.

    고양이과 동물은 사냥 감을 잡아 먹기전에 소화가 잘 되지 않는ㅇ가죽을ㅇ벗겨내는데 혓바닥의 가시를 이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