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외로운당나귀218
외로운당나귀218

미국주식시장은 최근 급락세는 버블이 터지는 것인지요?

세계 다른 나라 주식시장보다 미국주식시장의 낙폭이 두 배 이상되는 것 같은데, 미국주식시장의 버블이 본격적으로 붕괴되면서 경기가 침체되는 국면으로 돌아서는 것인가요?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시크한오리233
    시크한오리233

    안녕하세요. 이예슬 인문·예술/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10년간 미국의 장은 계속적으로 우상향을 하는 그래프가 일반적이였고, 이를 억제하려는 움직임은 코로나-19로 인해 다시 한번 멈춰섰습니다. 금리인상이나 테이퍼링, 양적긴축의 정책외에도 코로나-19는 지속되고 있고, 우크라이나 전쟁이나 중국의 도시 폐쇄등 인플레이션을 불러오는 여러가지 현상들이 일어나며 기술주는 물론이고 많은 주식장들에 악영향이 미치고 있습니다.

    다만, 이러한 현상이 계속되지는 않을 것이고 버블이 터진다고 하더라도 그 안에서 가치가 증명된 주식들은 다시금 도약을 할 것으로 보입니다.

  • 최근 미국의 증시는 개인적 생각에따라서 차이는 있을수 있겠으나.코로나가 장기화가되면서 그에따른 it를 비롯한 수혜주에서 코로나가 마무리단계에 접어들면서 낙폭이 심해지고 일자리가 있지만 시급을 더 인상시켜도 코로나로 인한 심리적 변화로 일을하지 않고 여유로운 삶의 영위. 러시아전쟁이슈로 인핫 원유및 곡물가격상승. 중국의 상하이 봉쇄령과 자국의 강력한 금리인상등으로 투자심리 불안등이 겹쳐서 나온 현상이라고 생각되어집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ed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데 주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시장이 부담해야 하는) 경제적 비용은 감당하지 않겠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긴축 기조가 이어지고 시장이 이를 믿는 한 (주식 등) 위험자산이 반등할 것이라는 근거를 찾기 어려울거 같습니다. 코로나19 초기 수준으로 회귀한 중국 경기는 전 세계에 타격을 줄 것으로 내다봤고 중국은 최근 2020년 3월 수준의 소매판매와 산업생산 증가율을 발표했습니다. Fed가 비둘기파(통화 완화 선호) 기조로 입장을 바꾼 이후에 주식시장으로 복귀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