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DEX 미국나스닥100TR ETF 종목 뒤에 TR이 붙는데 무엇을 의미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KODEX 미국나스닥100TR 종목 뒤에 TR이라는 게 붙는데 무엇을 의미 하는지가 궁금합니다 무엇을 의미 하는건가요?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TR은 배당을 지급하지 않고 알아서 그 배당을 다시 재투자하는 상품을 말합니다
즉 배당의 복리효과를 바로 진행하기 때문에 투자에 편리함이 있습니다
즉 꾸준히 상승할 것을 예상하고 장기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라고 하면 TR투자가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뒤에 붙는 TR은 Total Return을 뜻합니다.
ETF에서 발생하는 배당금을 다시 재투자한다는 뜻입니다.
이에 배당금을 따로 지급하지 않고, 다시 투자하게 되는 상품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직접 배당금을 사용하지 않고, 투자하시는 분들에게는 유리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TF 뒤에 붙은 'TR'은 Total Return의 뜻으로 분배금을 투자자에게 지급하지 않고 이를 다시 자동으로 재투자하는 상품인데요. ETF를 매도하기 전까지 배당소득세 15.4%를 내지 않아 장기투자자에게 인기가 높은 상품들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궁금해서 찾아보니 TR이 끝에 붙은 ETF는 배당이 별도로 지급되지 않고 배당이 자동으로 재투자되는 ETF 를 말한다고 합니다 그럼 올해 마무리 잘 하시고 새해엔 좋은 일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TR ETF 종목명에 붙은 TR은 "Total Return"을 의미합니다. 이는 해당 ETF가 단순히 기초지수의 가격 변동만 반영하는 것이 아니라, 배당 수익까지 포함하여 지수의 총수익률을 추종한다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TR이 없는 지수(Price Return, PR)는 지수의 가격 변동만 반영하지만, TR 지수는 기업들이 지급한 배당금을 재투자한 효과까지 반영하여 더 정확히 투자 성과를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나스닥100 지수에 속한 종목들이 배당을 지급하면, TR 방식에서는 이 배당금이 재투자된 것으로 계산해 지수의 성과에 반영됩니다. 반면, PR 방식에서는 배당금이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수익률이 TR보다 낮게 나오는 경우가 많습니다.
KODEX 미국나스닥100TR ETF는 나스닥100 TR 지수를 추종하므로, 미국 나스닥 상장 기업들의 성장성과 함께 배당 수익까지 모두 포함된 결과를 제공하는 상품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는 장기 투자 관점에서 복리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어, 배당을 중시하는 투자자들에게 적합합니다.
간단히 말해, TR은 배당까지 포함한 지수 추종 방식이라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도움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tr이라고 하면 토탈리턴으로
별도의 배당금(분배금)을 지급하지않고, 그 배당금 만큼도 추가적으로 투자를 해서
배당은 안받고 가격은 더 오르는 방식으로
관심없이 장기투자할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