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놀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결과를 생각하지 않고 하는 행동을 어떻게 수정해 줄까요?

초등학교 3학년 남자아이입니다.

예를 들면, 공을 던지면 창문이 깨진다와 같이 당연한 결과를 한 번씩 잊는것 같습니다.

이런 식의 실수를 할 때마다 열이 뻗치는데, 어떻게 하면 이런 실수를 막을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천지연 보육교사
      천지연 보육교사
      어울누리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결과를 모르는 것은 당연함 입니다.

      하지만 공을 던져서 창문이 깨트리는 행동은 그 집 주인 아저씨와 아주머니에게 불쾌감을 줄 수 있다 라는 것을 인지시켜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이해하고 받아들일 때 까지 반복해서 알려주도록 하세요.

      아이는 공감능력이 부족한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인성교육을 시켜주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인성교육의 목표는 남을 배려하고 존중하고 그 상대의 감정을 공감하는 것입니다.

      또한 기본생활습관 및 예절교육도 시켜주시는 것도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우석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결과에 대한 이해를 가르쳐주고 안전한 행동을 강조하는게 좋습니다. 공을 던질 때 창문이 깨질 수 있다는 것을 관련 사진이나 영상을 통해서 시각화 해주는게 필요하고 그 결과 어떤 영향을 줄수 있는지도 생각해 보게 하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그러한 행동을 할 때에는 어떤 감정상태인지 원인이 무엇인지 파악을 해주시는 것이 중요할 듯 합니다.

      3학년이라면 엄마 아빠와 대화를 주고 받을 수 있는 나이이므로

      아이가 한 행동에 대해 물어봐주세요 그리고 그러한 행동을 했을 경우 어떤 사건이 일어나는지

      해결법을 아이가 스스로 생각해서 이야기할 수 있도록 대화를 해주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이런 행동에 대하여

      책임을 지게 해서 스스로

      행동을 자제하게끔 하셔야 하니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무언가 행동을 하기 이전에

      3번 정도 생각을 하고 그 행동에 문제가 없을 경우에만

      그 행동을 하게 하도록 지도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반복된 학습에 의해서 행동을 바로 잡아 주셔야 합니다

      계속해서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 강한 훈육을 해서 행동 교정을 시켜 주시고 잘한 행동에 대해서 칭찬과 격려를 해서 행동을 강화하게 해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아직 미성숙한 존재입니다. 실수를 하기 때문에

      아직 어린이인 것입니다. 부모 또한 어린이 시절이 있었으며 어린이시절

      실수 등을 경험하였을 것입니다. 부모 기준이 아닌 아이들 눈높이에서 생각하시고

      훈육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이는 단호한훈육과교육이필요합니다

      위험한것하지않아야할것은 아이에게단호하게말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지각 능력이 아직 완성되지 않아 아이들은 위험한 상황에 항상 노출 되게 됩니다.


      반복적을 안전교육을 시켜주셔야 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이러한것에 대해서 조금 조심할수있도록 하는것이 좋을수있으며

      무언가를 깨거나 부술수있는것은 외부에서 놀이를하도록 이야기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간접 체험을 하게 하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어린이 안전 교육에 관련된 책을 자주 읽게 하거나, 또는 관련 영상을 함께 보면서 자주 아이와 대화하는 시간을 가지셔야 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