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정형외과 이미지
정형외과의료상담
지적인고양이175
지적인고양이17521.06.10

무리한 골프연습 후 등 결림 치료는 어떻게?

골프 연습을 무리하게 한주동안 많이했어요. 그러다 어느날 부터 날개뼈가있는 등쪽 부위가 결린채로 한달가량 통증이 지속되고있어요. 조금 괜찮아 지는 듯 싶더니 몇 홀만 돌면 다시 통증이 시작되서 숨도 제대로 못쉬고 식은땀이 줄줄 날정도로 아파 골프를 더이상 칠수가 없어요. 왼쪽 등 윗쪽과 날개뼈 쪽 그리고 등판의 왼쪽 중간쯤에 척추를 잡고있는 근육이 뭉친듯한 느낌과 결린듯한 느낌이 같이 들어요. 현재는 아예 연습장도 안가고 골프채를 잡지도 않고있어요. 동네 한의원에 가서 매일 침치료와 부항치료를 받고있는데 도무지 나아질 기미가 안보이네요. 엑스레이상으로 뼈에는 문제가 없었어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명훈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골프 스윙때 허리부터 손목까지 많은 근육과 힘줄에 충격 이 전달 됩니다. 현재 통증이 있는 부위인 등과 날개뼈 부위에도 근육과 뼈를 이어주는 힘줄이 있으며 스윙시 과도한 회전이나 충격으로 인하여 손상 받을수 있습니다. 충분한 휴식이 필요하며 한의원에서 별 효과가 없다면 통증의학과로 가셔서 주사치료(스테로이드와 국소마취제 등)와 물리치료를 받는것이 도움되겠습니다. 완쾌후에는 골프를 너무 무리하게 치지 마시고 스윙 중 무리가 갈수 있는 동작이 있는지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리해서 평소 잘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사용하는 경우에 나타날 수 있는 통증입니다. 당분간은 꾸준히 물리 치료와 주사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또한 통증이 좋아질 때까지는 운동은 피하고 가벼운 스트레칭 정도 해주시는 것이 좋구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힘드시면 증상 조절위해 약(진통제, 근이완제)을 받거나, 아니면 찜질 같은 것을 해보는 것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진료보시고 mri 필요여부 확인해보세요.

    시술이나 수술이 필요로 치료를 해야되는 경우가 분명 있습니다.

    작성하신 글에서는 정보가 많이 부족합니다.

    길게 설명드리기는 어려운 부분이라서 이 정도로 마치겠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무리한 운동후에 팔꿈치등에 생기는 통증을 테니스 엘보라고 합니다.

    테니스 엘보는 팔꿈치 관절에 생기는 통증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테니스, 골프 등 팔을 쓰는 운동이 과도하거나 직업상 팔을 많이 쓰는 경우에도 발생합니다. 전업 주부들이 팔꿈치가 아파서 병원을 방문했을 때 평생 테니스 라켓을 한번도 안 쥐어보았다고 말해도 테니스 엘보에 걸렸다는 진단을 받게 되는 수가 많습니다.

    테니스 엘보는 수술을 하지 않고도 통증을 감소시키고 염증을 가라앉히면서 파열된 힘줄의 회복을 도와 대부분 치료되는 질환이다. 테니스 엘보의 치료는 1단계로 통증의 제거, 2단계로 재발의 예방순으로 시행하게되요.

    1. 제 1단계 - 통증의 제거

    초기에는 손목, 또는 팔꿈치관절을 쉬게 해야 하고, 냉찜질을 하면서 증상을 유발한 어떤 활동도 피하는 것이 중요하다. 비마약성 소염제와 초음파, 전기자극 등의 온열 물리치료를 처방하면 도움이 되나 가장 중요한 것은 4-6주간의 휴식이다. 증상이 호전되지 않을 때는 국소 스테로이드와 마취제를 주사하여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2. 제2단계 - 재발을 막기위한 예방법

    통증이 가라앉으면 손목, 손가락, 그리고 전박부의 근육을 “스트렛치 (이완)”하고 강화하는 운동을 포함한 물리치료를 받음으로써 팔꿈치 상과의 힘줄에 재파열을 방지해합니다. 통증이 다시 생기면 재발을 막기위해 통증이 사라질 때까지 팔을 쉬어야 해요. 테니스를 칠 때 생기는 팔꿈치의 통증은 대부분 좋지 않은 백 스트로크 자세에서 나온다. 즉, 백 스트로크 때에 팔꿈치가 구부러진 자세를 볼을 치면, 볼에서 건네지는 근육의 충격량은 팔을 폈을 때 보다 상당히 커서 무리를 주게 되요. 이외에도 그립이 너무 크거나, 테니스 라켓줄이 너무 팽팽하면 같은 이유로 테니스 엘보가 올 수 있다. 주부들의 경우는 빨래를 짤 때, 마루를 닦을 때 등등 손목의 회전, 손목을 뒤로 젖히는 운동이 되는 일상 일에서 잠시 벗어나 팔을 쉬어야 합니다. 하루종일 컴퓨터 모니터만 바라보면서 키보드만 만지작거리는 생활에서는 어깨, 목의 결림 (통증)이 오는 수가 많은 데, 팔꿈치의 통증도 드물지 않아요. 이유는 팔과 손목의 근육 약화로 인하여 가끔 하는 골프, 볼링, 테니스, 수영 등의 운동 등이 팔과 손목에 무리를 주게되어 통증이 생길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깨 충돌 증후군은 어깨관절에서 견봉과 위팔뼈 대결절부의 마찰로 발생하게 됩니다.

    원인으로는 회전근개 힘줄의 비후 혹은 힘줄 내의 석회의 침착 등의 내적 변화와 견봉골, 견봉의 골극, 대결절의 외골증 등이 존재할 수도 있습니다.

    어깨 충돌 증후군의 가장 큰 특징은 심각근 부위의 통증이며 경우에 따라 상완부도 아플 수 있습니다.

    치료는 보통 두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번째는 비수술적 치료로 통증의 해소, 관절 운동 범위의 회복, 회전근개 기능의 회복이 목표이며 대부분 수개월(4~6개월)이 걸리며 치료 이후에도 관리가 상당히 중요합니다

    두번째는 수술적 치료로 제한적인 케이스에서만 시행합니다. 즉 비수술적 치료가 효과가 없을 시에 시행하게 되며 이 역시 재활까지 겹친다면 상당히 수개월이 걸립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능형근(rhomboid muscle)은 목과 어깨 사이에 위치한 근육입니다.
    흔히 날개뼈라고 불리는 견갑골 부위나 등부분의 통증을 유발하지요.
    무리한 푸쉬업이나 신체활동이 통증의 원인이 될 수도 있고, 장기간 같은 자세를 유지하는 것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통증이 지속되신다면 정형외과 진료를 보시길 권합니다.
    참고로 아래 스트레칭 방법을 첨부합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https://ko.wikihow.com/%EB%8A%A5%ED%98%95%EA%B7%BC-%EC%8A%A4%ED%8A%B8%EB%A0%88%EC%B9%AD-%ED%95%98%EB%8A%94-%EB%B0%A9%EB%B2%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