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은 어떻게 영양소를 온몸으로 보낼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심장은 피를 받아들이는 혈관인 정맥과 피를 내보내는 혈관인 동맥이 연결되어 있잖아요~ 이런 심장은 어떻게 영양소를 온몸으로 보낼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심장은 혈액이 전신으로 순환할 수 있는 힘을 주는 펌프인데요, 주된 역할은 산소와 영양분을 싣고 있는 혈액이 온몸에 흐르게 하는 것이며, 이를 위해 1분에 60~80회 정도 심장 근육이 수축하고 확장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심장 근육의 수축과 확장의 반복 운동이 심장 박동으로 나타나게 되는데 건강한 사람의 경우 1분에 약 70회 심장이 박동한다고 가정했을 때 1시간이면 4,200회가 되고 하루로 치면 무려 10만 회 이상을 박동하게 됩니다. 이처럼 심장은 펌프와 같은 역할을 통해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켜 생명이 유지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때 사람의 심장은 네 개의 방으로 이루어져 있는데요, 위의 두 개를 심방, 아래 두 개를 심실이라고 하며 심장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있는 것을 우심방, 우심실이라 하고 왼쪽에 있는 것을 좌심방, 좌심실이라고 합니다. 피는 심방을 통해 심실로 흘러들어 가며 심방과 심실이 교대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온몸에 혈액을 끊임없이 공급해 줍니다. 오른쪽 심장은 온몸을 돌고 온 혈액을 받아 폐로 보내고 폐는 혈액 속의 이산화탄소를 교환해 줍니다. 산소가 풍부해진 혈액은 다시 왼쪽 심장으로 돌아와 심장의 펌프 작용에 의해 다시 온몸으로 공급됩니다.
안녕하세요.
심장이 영양소를 온몸으로 전달하는 과정은 심혈관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통해 이루어집니다. 심장은 피를 전신으로 펌프질함으로써 산소와 영양소를 세포에 공급하고, 대사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와 대사 폐기물을 제거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합니다.
심장은 좌심방, 좌심실, 우심방, 우심실의 네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우심방은 전신에서 돌아온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받아 우심실로 보내고, 우심실은 이 혈액을 폐로 보내 폐혈관을 통해 산소를 공급받습니다. 산소를 풍부하게 함유한 혈액은 폐에서 좌심방으로 이동한 후 좌심실로 보내집니다. 좌심실은 가장 강력한 근육 구조로, 산소와 영양소가 풍부한 혈액을 전신으로 퍼내는 역할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혈액은 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이동하며, 동맥은 점차 작은 동맥으로 나뉘어 세세한 모세혈관까지 이르게 됩니다. 모세혈관에서는 혈액 속의 산소와 영양소가 세포로 확산되고, 세포의 대사 과정에서 발생한 이산화탄소와 대사 폐기물은 다시 혈액에 의해 수송되어 최종적으로 정맥을 통해 심장으로 돌아오게 됩니다.
심장의 이러한 기능은 생명 유지에 필수적이며, 적절한 영양 공급과 대사 폐기물의 제거 없이는 생체의 각 세포와 조직이 정상적으로 기능을 수행할 수 없습니다.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심방의 동방결절에서 생성되는 미세한 전류가 수축을 일으켜 심장이 발끝까지 혈류를 순환시킵니다. 감사합니다.
사실 심장은 직접 영양소를 만들거나 저장하는 기관은 아닙니다. 심장의 주된 역할은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펌프입니다.
우리가 먹은 음식물은 소화기관에서 소화되어 영양소로 분해되고 이렇게 분해된 영양소는 주로 소장에서 혈액으로 흡수됩니다. 그리고 혈액은 영양소를 비롯하여 산소, 호르몬 등 다양한 물질을 운반하는 매개체로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소는 혈액을 타고 심장으로 들어갑니다.
그럼 심장은 강력한 펌프처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혈액을 온몸으로 순환시키는 것입니다. 심장에서 나온 혈액은 점차 가느다란 혈관인 모세혈관으로 나뉘어지고 모세혈관은 혈관벽이 매우 얇아 혈액 속의 영양소가 조직 세포로 쉽게 확산될 수 있는 것이죠.
따라서 심장은 직접 영양소를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영양소를 운반하는 혈액을 순환시키는 역할을 통해 간접적으로 영양소를 온몸으로 공급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심장은 좌심실, 우심실, 좌심방, 우심방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좌심실은 몸으로 피를 보내고, 우심실은 폐로 피를 보냅니다.
폐에서 산소를 받은 혈액은 좌심방으로 들어가고, 이어서 좌심실로 이동해 대동맥을 통해 온몸으로 나갑니다.
몸에서 산소를 소모한 혈액은 정맥을 통해 우심방으로 들어가고, 그 후 우심실로 이동해 폐로 보내집니다.
혈액에는 산소뿐만 아니라, 소화된 음식에서 나온 영양소도 포함되어 있어요. 심장이 혈액을 순환시킴으로써 이 영양소들이 각 세포에 전달됩니다.
안녕하세요. 손국현 전문가입니다.
영양소는 혈액의 형태로 이동하는데 심장의 역할이 매우 중요합니다.
폐순환 과 체순환으로 나뉘는데요.
폐순환은 산소가 부족한 혈액이 우심실에서부터 시작해서 폐동맥, 폐, 폐정맥을 지나 좌심방으로 이동합니다.
좌심방으로 들어온 혈액은 산소가 풍부한 샘이지요
체순환은 좌심실에서부터 시작해서 신체로 보내는 과정입니다.
대동맥을 토앻 전신혈액이 공급되기 시작하는데요 . 동맥과 세동맥, 모세혈관을 통해 각조직으로 산소와 영양소를 전달합니다. 모세혈관은 조직으로부터 받은 산소와 영양소를 공급함과 동시에 이산화탄소와 노폐물을 수집합니다.
이러한 모세혈관의 혈액은 세정맥을 통해 정맥을 타고 대정맥에서 모여지고 심장의 우심방으로 들어갑니다. 우심방의 혈액은 우심실로 이동하며 아까 언급한 폐순환을 반복합니다.
심장은 강력한 근육으로 이루어진 인체펌프로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여 혈액을 밀어내 신체의 곳곳으로 보냅니다.
우심방 우심실 좌심방 좌심실로 구성되어 위의 체순환과 폐순환에서 기능합니다.
심장은 그 역할이 중요한만큼 강력한 압력으로 밀어내는데 좌심실 수축하여 혈액을 대동맥으로 보내는 압력은
약 120mmHG에 이릅니다. 이 압력으로 신체의 가장 먼곳으로 혈액을 보내게 됩니다.
하지만 이 압력도 멀리 갈수록 적어지면서 역류의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심장은 역류를 막기위해 판막을 가지고 있습니다.
우심방과 우심실 사이의 삼첨판
우심실과 폐동맥 사이의 폐동맥판
좌심방과 좌심실 사이의 승모판
좌심실과 대동맥 사이의 대동맥판입니다.
신기하게도 심장이 수축하고 이완할때 정확한 순서대로 열리고 닫히는 판막은 혈액이 한 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또록 합니다. 이러한 구조가 되어 있어 효율적인 혈액운용이 가능합니다.
심장의 판막에 문제가 생기면 혈액이 역류하거나 제대로 흐르지 못해 심장과 몸 전체에 부담을 줍니다.
호흡곤란이 오거나, 가슴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피로도느낄수 있는데 이는 혈액공급이 부족해서이구요.
원활하지 않은 혈액순환은 발목이나 다리가 붓는 부종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심장은 혈액을 순환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 혈액 순환: 심장은 정맥을 통해 산소가 부족한 혈액을 받아들이고, 이를 폐로 보내 산소를 공급받습니다. 이후 산소가 풍부한 혈액이 심장으로 돌아옵니다.
2. 영양소 운반: 심장은 동맥을 통해 산소와 영양소가 가득한 혈액을 온몸으로 내보냅니다. 이 혈액은 각 조직과 세포에 필요한 영양소를 전달합니다.
3. 노폐물 제거: 혈액은 세포에서 발생한 노폐물과 이산화탄소를 수집해 다시 심장으로 돌아와 정맥을 통해 배출됩니다.
결론적으로 말씀을 드리자면, 심장은 영양소와 산소를 효율적으로 운반하며, 체내의 순환 시스템을 통해 모든 조직에 필요한 물질을 공급합니다.
심장은 혈액을 온몸으로 펌프질하여 영양소를 보냅니다. 소장에서 흡수된 영양소는 간을 거쳐 혈액에 들어가고, 심장은 이 영양소가 포함된 혈액을 강하게 수축하며 동맥을 통해 전신으로 보내게 됩니다. 이렇게 펌프 역할을 하는 심장이 혈액과 함께 영양소를 각 조직과 장기에 공급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