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팔팔한파리매131
팔팔한파리매131

중국인을 되놈이라 부르는 연원이 궁금합니다.

북한의 김일성이 김정일에게 되놈을 믿지 마라와 김정일이 고 김대중 전 대통령에게 되놈들은 욕심이 많다며 경계를 하였다는데 중국인을 되놈이라 부르는 연원이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학문분야전문가(화학/미술등)
      학문분야전문가(화학/미술등)

      안녕하세요. 김찬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실 최초에 되놈이란 단어는 비하하는 용어로 시작된 단어는 아닙니다. 여진족에 대한 별칭으로 시작된 단어 입니다. 11세기에 일본 규슈에 여진족 해적들이 쳐들어온 일이 있었는데 이 사건을 일본에선 '도이(刀伊)의 입구(入寇:적이 쳐들어온다는 뜻)'라고 부르며 포로로 잡혔습니다. 구출된 고려 사람이 당시 여진족 해적들을 '되놈'이라 불렀기 때문에 알려진 것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도이는 발해를 말하는 단어 이기도 하고 여진족이 발해 지역에 거주했기 때문에 도이라고 불렀었습니다.

      그럼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되놈은 중국인을 얕잡아 부르는 한국어 중 하나입니다. 한국인들 사이에서는 중국 한족들이 잘 씻지도 않고 더럽다는 뜻인 때놈 또는 인구가 매우 많은 것을 빗대어 떼놈이라고도 부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인은 되놈 이라고 하는 이유는 우라말의 "네" 라고 하는 말이 중국말로 对(뙤이) 입니다. 중국어를 잘 모르는 사람입장에서는 하도 중국 사람들이 뙤뙤 거리니까 중국 사람을 뙤놈 이락 하게 된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되놈은 중국인을 낮잡아 부르는 한국어 명칭 중 하나로, 되놈에서 되 라는 말은 본래 두만강 인근의 살던 여진족을 부르는 말이라는 설이 있습니다.

      고대부터 한국, 중국에서 여진족을 도이라고 많이 불렀고, 말갈- 여진족 시절부터 사용했던 말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