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 이완제 장기복용 부작용도 있나요
근육 이완제 를 자주먹고 있는데 혹시 부작용도
올수있나요 부작용 이 있다면 어떤증상 이 나타나나요
혹시나 하는 맘에 질문 남겨보아요 전문가 님들에 소중한 답변 듯고싶어요 자세히 알려 주시면 좋겠어요
-
어떤 근이완제를 복용 중이신지 본문 내용만으로 알 수 없으나,
일반의약품으로 구매하여 복용 중이시라면 Chlorzoxazone 제제이겠습니다. (ex. 릴랙슬정 등)
특별히 장기적인 복용과 관련하는 부분은 아니긴 하나 Chlorzoxazone 복용 시 위장증세나 졸음 등이 유발될 수 있고,
간독성이 보고된 경우가 있기 때문에 장기복용 시에는 주기적으로 혈액 검사 등으로 간수치를 확인하시면 좋겠습니다.
답변이 참고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근육이완제의 경우 단기간 먹으면 크게 부작용이 생기지 않으나, 사람에 따라서 졸림/진정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습니다.
졸리거나 진정 작용이 생길 수 있어 기계조작은 항상 주의하는게 좋으며, 이러한 부작용 없으면 권장량 드셔도 크게 무방합니다.
다만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 약에 의존하는 것보단, 병원에 방문해서 근본적인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근육이완제를 드시고 있는지에 따라 다르겠지만 처방약의경우 장기복용시 부작용이 있을수 있긴 합니다.
무력감이나 간혹 졸음을 느끼신다는 분들도 있으며 보통 근 이완제는 증상이 있을때만 먹는 약이니 참고바랍니다.
1. 근육이완제는 근육신경을 풀어줘서 근육통을 치료해줍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은 졸림, 어지럼증 입니다.
2. 근육이완제를 오랫동안 드셔도 문제는 없지만 술을 마시고나서 복용하지는 말아야합니다.
근육뭉침, 근육통 등이 있다면 근육이완제를 복용하셔도 됩니다. 장기간 복용에 대한 부작용은 따로 나와있지 않으며 흔한 부작용으로 졸림, 나른함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근육통이 자주 나타난다면 마그네슘을 꾸준히 드시는 것도 좋습니다.
근육이완제를 먹었을때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부작용은
졸림이나 나른함 등입니다.
이런 부작용은 약을 복용하고 초반에도 나타납니다.
에페리손 성분이나, 바클로펜 성분등의 근육이완제는 장기복용시 부작용이 많은 약은 아닙니다.
위장장애가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대부분은 초반에 나타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근육이완제의 경우 졸음이 올 수 있다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혹여나 운전하시는 분들의 경우 복용하실 때 주의하셔야 합니다.
또한 다리에 힘이 풀리는 분들도 간혹 있기에 드셔보시고 증상이 있는지 확인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 습관적으로 자주 드시지는 마세요
- 부작용으로 응급실 가시는 분들이 비교적 많은 약 중의 하나입니다
=====================================
1. 경고
이 약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드물게 심한(치명적인 경우도 있음) 간세포독성이 나타났다는 보고가 있다. 기전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특이체질적이며 예측할 수 없다. 환자에게 발열, 발진, 식욕부진, 구역, 구토, 피로, 측두통, 흑뇨, 황달, AST, ALT, ALP, 빌리루빈 상승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즉시 투여를 중지하고 증상이 악화되는 경우에는 의사와 상의한다. 또한 간질환의 병력이 있는 환자의 경우 투여 전 반드시 의사와 상담한다.
2. 다음 환자에는 투여하지 말 것.
1) 이 약에 과민증의 병력이 있는 환자
2) 이 약에 내성이 없는 환자
3) 이 약은 유당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갈락토오스 불내성(galactose intolerance), Lapp 유당분해효소 결핍증(Lapp lactase deficiency) 또는 포도당-갈락토오스 흡수장애(glucose-galactose malabsorption) 등의 유전적인 문제가 있는 환자에게는 투여하면 안 된다.
3. 다음 환자에는 신중히 투여할 것.
1) 간·신장애(간·신장장애) 환자
2) 약물에 알레르기 반응 또는 그 병력이 있는 환자
4. 부작용
1) 과민증: 발진, 가려움, 두드러기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2) 정신신경계: 졸음, 어지러움, 비틀거림, 권태감, 과자극 등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감량(줄임) 또는 투여중지 등 적절한 처치를 한다.
3) 간장: 드물게 간기능 장애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관찰을 충분히 하고 이상이 나타나는 경우에는 투여를 중지한다.
4) 소화기계: 구역·구토, 가슴쓰림·위정체감·위부불쾌감, 설사, 변비, 심와부통·위통, 드물게 위장관 출혈이 나타날 수 있다.
5) 기타: 드물게 알레르기성 피부발진, 점상출혈(출혈점), 반상출혈(피부에 검보랏빛 얼룩점이 생기는 내부출혈), 혈관신경성 부종(부기), 아나필락시 반응이 나타날 수 있고 이 약의 페놀계 대사물에 의한 요변색(소변색이 변함)이 나타날 수 있다.
5. 일반적 주의
졸음, 주의력·집중력·반사운동능력 등의 저하가 나타날 수 있으므로 이 약을 투여중인 환자는 자동차운전 등 위험을 수반하는 기계조작을 하지 않도록 주의한다.
6. 상호작용
다음 약물과의 병용(함께 복용) 또는 음주에 의하여 상호작용이 증강될 수 있으므로 병용투여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부득이하게 병용(함께 복용)하는 경우에는 감량(줄임)하는 등 신중히 투여한다.: 페노치아진계 약물(클로르프로마진 등), 중추신경억제제(바르비탈계 약물 등), MAO저해제근이완에는 특별히 내성이 있는 약은 아닙니다. 하지만 부작용으로 때때로 불면, 졸음, 두통, 사지마비, 드물게 몸의 굳어짐, 사지떨림 등이 나타날 수 있으며 소화기계 부작용으로 때때로 구역, 구토, 식욕부진, 위부불쾌감, 구갈, 변비, 설사, 복통, 드물게 복부팽만감, 구내염 등이 나타날 수 있기에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에 필요시에만 복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