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숩숩숩
숩숩숩

고양이도 사람도 하품이라는 걸 하는데 하품에 대해서 제대로 밝혀진게 있을까요 ?

안녕하세요. 고양이도 사람도 가끔씩 하품이라는 걸 하게 되는데요

왜 하품에 대해서 제대로 밝혀진게 있는건가요 ?

단순히 추정하는 가설들은 많은데 하품의 원인에 대해서는

  1. 졸리거나 (피곤하거나 )

  2. 산소가 부족하거나

등의 이유가 유력한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이 외에 더 추정되는 가설이 있거나, 진짜 원인이 있나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제가 알기로 아직 명확하게 규명된 바는 없습니다. 가설들 중에서도 아직까지 가장 설득력 있는 가설은 "산소 부족"입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말씀하신 것처럼 하품은 졸음이나 산소 부족 등이 유력한 가설로 제시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정확한 이유는 알지 못합니다.

    하품은 단순히 하나의 원인으로 발생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나는 현상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또 사람마다 하품을 하는 빈도나 상황이 다르고, 동물들 사이에서도 하품 패턴이 다르게 나타나기 때문에 일반적인 원인을 찾기가 어렵습니다.

    하품은 뇌의 다양한 부위가 관여하는 복잡한 신경생물학적 현상으로 뇌의 기능에 대한 이해가 아직 완벽하지 않기 때문에 하품의 정확한 메커니즘을 밝히기 어렵습니다.

    더군다나 하품과 관련된 생리적, 심리적 변화를 정확하게 측정하고 분석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현재까지 제시된 하품에 대한 가설들은 말씀하신 것보다 더 다양합니다.

    뇌의 온도가 올라갈 때 뇌를 식히기 위해 하품을 한다는 가설이 있으며 졸음이 올 때 뇌를 깨우고 각성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하품을 한다는 가설, 다른 사람이 하품하는 것을 보고 따라 하품을 하게 된다는 가설, 하루 중 특정 시간대에 하품이 더 자주 발생하는 것을 보아, 생체 리듬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 등이 있죠.

  • 안녕하세요.

    우리는 보통 졸릴 때 하품을 하곤 하는데요, 하지만 졸리지도 않은데 하품이 계속 나오는 경우가 있습니다. 하품은 자신의 의지와는 상관없이 순간적으로 나오는 무의식적 반응이라 통제하기도 어렵습니다. 아직까지 하품을 하는 이유는 아직 명확하게 규정되지는 않았지만 유력한 학설이 있습니다. 첫번째는 '뇌에 산소가 부족해서'입니다. 우리는 숨을 쉬면서 산소를 들이마시고 이산화탄소를 내뱉는데요, 우리 몸에 산소가 부족해지면 산소를 보충하기 위해 하품을 하고, 하품을 통해 몸속 깊이 공기를 들이마시게 됩니다. 꽉 막힌 공간에 있어 산소가 부족해서 하품을 하는 경우 환기를 하거나 바깥 공기를 마시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두번째는 '뇌에 휴식이 필요해서'입니다. 스트레스를 받거나 긴장이 될 때에도 하품이 나오곤 합니다. 뇌가 지치면 우리의 몸은 하품을 통해 뇌에까지 공기를 전달하여 뇌를 식혀 휴식을 주는 것입니다. 하품을 할 때에는 입과 콧구멍이 크게 벌어져 평소 호흡량보다 많은 공기를 마실 수 있기 때문입니다. 2016년 11월 미국 뉴욕주립대 앤드루 갤럽 교수 연구팀이 사람을 비롯하여 23종의 동물을 대상으로 하품에 대해 연구한 결과 뇌의 크키가 크고 신경세포가 많을수록 하품의 시간이 긴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이는 뇌가 클수록 뇌를 식히는데 소요되는 시간이 길기 때문인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하품은 뇌의 온도를 조절하는 방법 중 하나로 추정되기도 합니다. 하품을 하면 깊게 숨을 쉬게 되어 뇌가 시원해질 수 있습니다.

    하품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일부로, 다른 동물에게 피곤하거나 지루하다는 신호를 보내는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사회적 동물인 사람과 고양이에게서 이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또한 

     하품은 긴장이나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방법일 수 있으며, 이때도 심리적 요인이 작용할 수 있습니다.

  • 하품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지만, 여러 가설이 존재합니다. 일반적으로 피로, 졸음, 산소 부족 등의 이유로 하품을 한다고 알려져 있지만, 최근 연구들은 하품이 뇌의 온도를 조절하고 각성을 유지하기 위한 생리적 반응일 수 있다는 가설을 제시하고 있습니다. 또한, 하품은 공감이나 사회적 유대감을 형성하는 데도 관련이 있다는 심리학적 가설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가설들은 아직 확정된 이론이 아니며, 하품의 정확한 이유는 여전히 연구 중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하품의 원인에 대한 연구는 계속 진행 중이며, 여러 가지 가설이 제안되고 있습니다.

    현재까지 하품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히 밝혀지지 않았으며,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