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자연인 되고파~~^^
자연인 되고파~~^^22.08.21

매년 물가는 오르는데 쌀값은 왜 떨어질까요~~?

금리인상으로 올해는 여느해보다는 물가인상이 높습니다.


올해도 여전히 쌀농사는 풍년이라고 합니다


세계적으로는 식량의 무기화가 될것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해마다 농업용쌀값은 하락하는 추세라고 하는데 그 원인이 무엇일까요.


고수님의 고견을 구합니다.


감사 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세계적으로 식량이 무기화된다는 것은 차후에 전쟁이 발발하게 된다면 전쟁을 무기로 사용하여 그 국가를 고립시킬수 있다는 의미인데요. 이것은 현재를 이야기하는 것은 아니고 식량생산을 하는 것이 오히려 기회비용이 크게 소모되어 버린다면 농작물 재배를 하는 인원이 줄어들게 될것이고 그 국가의 농작물재배의 규모가 그 국가 인원 전체를 수용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를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서 100만명이 먹을수있는 쌀을 재배하고 있는 국가가 쌀이 많이 생산되어서 쌀 가격이 100원에서 50원으로 떨어지게 되고 다른 일을 했다면 80원은 이익을 거둘수 있었다면 더이상 쌀을 재배할 이유가 없어지게 됩니다. 그릭 수입산 쌀의 가격이 80원이라면 더더욱 하지 않으려고 하겠죠. 그리고 점차적으로 쌀재배 농민이 사라지고 전적으로 외국에서 농작물을 수입하게 된다면 그 국가가 향후 전쟁이 발발했을때 국민들이 먹을 식량을 공수하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 때문에 '식량의 무기화'를 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오게 된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각국은 농민에 대한 보조금등을 지급하며 농작물 생산이 최소한이 이루어지도록 노력하고 있는 것이지만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저렴한 쌀을 구입(해외산)하거나 쌀에 대한 소비(빵이나 다른 대체제는 밀가루로 생산)가 감소하게 되면서 나타나는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보통 국가에서 농민들의 손해를 보지 않도록 쌀을 대량으로 국가매입을 해주게 되는데요. 국가에서 매입한 쌀들은 보통 군대에서 사용되거나 해외원조로 많이 소모되게 됩니다.

    좋은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코로나19 및 생활습관의 변화로 쌀 소비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는 반명, 쌀 공급량은 작년부터 오히려 증가하면서 쌀값이 크게 하락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년 우리나라보다 저렴한 쌀의 수입이 이루어진면서 국내 쌀의 가격의 더 큰폭으로 하락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연간 1인당 쌀소비량은 매년 줄어들고 있는 추세입니다.

    • 수요와 공급에 법칙에 의해서 공급은 유지되지만 수요가 감소하여 쌀값은 하락하게 됩니다.

    • 또한 쌀은 정부에서 보조금을 지원해가면서 공급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공급이 줄어들

      가능성도 매우 낮아 쌀 값은 지금보다 떨어지거나 유지하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의 식습관은 과거에 비하여 연간 쌀 소비량이 1/2 수준으로

    줄어드는 등 하였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는 농업기술이 계속하여 발달이 되고 작황도 좋으며 재배면적도 꾸준히 늘어나

    쌀의 수확량이 크게 늘어남으로써 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것이며

    즉 수요와 공급이 꺠졌기 떄문에 그렇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시장의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에의해 정해집니다..여러가지 음식문화가 보편화되면서 쌀 소비가 많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그에따른 정부가 쌀가격유지를 위해서 매입을 하고 있지만 재고량도 많기에 그에따른 문제점으로 보입니다. 농민입장에서는 재료값은 비싸고 쌀가격은 낮고 힘든부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