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노란누에137
노란누에137

주식 차트론 중에 엘리엇트 파동 이론에 대해 궁금합니다.

주식 차트론 중에 엘리엇트 파동 이론에 대해 궁금합니다. 최근에 공부를 시작한 주린인데요 한파동이 끝나고 하락 파동 A , B , C 파동중에 하락 B파와 상승 1파를 구분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충분한A,B,C가 다 나왓다고 생각해서 새로 시작하는 상승 1파로 보고 체크 했을시 다시 하락 추세로 이어지더라구요 그래서 찾아 보니 큰 하락 파동 A, B , C 중 B파에 해당된다고 하던데 구분이 잘가질 않네요 따로 참고해야 할 부분이 있는가용?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B파와 1파를 구분하는 방법...

    파동의 구조:

    • B파: B파는 보통 A파의 하락에 대한 조정 파동으로, A파의 하락을 일정 부분 되돌리지만 완전히 되돌리지는 않습니다. B파는 보통 3개의 작은 파동(a-b-c)으로 구성됩니다.

    • 1파: 1파는 새로운 상승 사이클의 시작으로, 보통 5개의 작은 파동(1-2-3-4-5)으로 구성됩니다. 1파는 강한 상승을 보일 수 있으며, 이전 하락 파동의 저점을 확실히 깨지 않고 상승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거래량:

    • 상승 1파에서는 거래량이 증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는 새로운 상승 추세가 시작되고 있음을 나타냅니다.

    • 반면 B파는 보통 거래량이 적으며, 시장 참여자들이 확신을 가지지 못한 상태에서의 반등일 가능성이 큽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 B파는 보통 A파의 38.2%, 50%, 또는 61.8% 수준에서 되돌림을 보이는 경우가 많습니다. 피보나치 되돌림 수준을 통해 B파의 위치를 예측할 수 있습니다.

    • 1파는 이전의 주요 저항선을 돌파하거나 새로운 고점을 만들면서 상승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파동의 길이와 시간:

    • B파는 보통 짧고, 시간이 적게 소요되며, 상대적으로 작은 움직임을 보입니다.

    • 1파는 더 긴 시간 동안 지속될 수 있으며, 더 큰 가격 변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

    저도 엘리엇파동 공부할때.. 진짜 의외로 복잡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분석법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노란누에137님,

    엘리어트파동이론을 공부하고 계시는군요^^

    저 또한 기술적 분석을 할 때 파동을 보기는 합니다만, 파동의 경우 주관적인 부분이 많아서 누가 카운팅 하느냐에 따라 천차만별로 해석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절대적인 기준은 존재 합니다. 예를 들어 A파 상승 후 B파 하락은 A이 저점을 통과해서는 안된다 등..이런 기초적인 기준들이 각 파동별로 존재하니 깊게 한번 공부를 해보시기를 바랍니다.

    그리고 파동 또한 큰 파동안에 수없이 많은 작은 파동들이 존재 합니다. 이 작은 파동들이 모여서 큰 파동을 만드는거고 이것은 정말 많은 경험으로 자신만의 노하우를 만들어야 합니다. ^^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엘리엇 파동 이론에서는 주식 가격이 일정한 패턴으로 움직인다고 봅니다. 하락 파동에서는 A, B, C 세 단계로 나뉘는데 B파는 잠시 상승했다가 다시 하락하는 단계입니다. 상승 1파는 새로운 상승 추세의 시작을 의미합니다. 이 둘을 구분하려면, B파는 이전의 하락 파동에 포함된 작은 반등이며 상승 1파는 더 큰 상승 추세의 시작이므로 거래량과 추세선을 참고하여 더 강한 상승 신호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질문해주신 엘리엇트 파동이란 다음과 같은 내용입니다.

    엘리어트 파동이란 주가의 움직임은 상승이 5파, 하락에서는 3파의 연속으로

    총 8개의 파동이 한 사이클을 이루며

    주가의 상승과 하락을 반복한다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