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에서 기관투자는 어떤 기관들이 투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자드락비입니다.
기관투자자
institutional investor
기관투자자에 대한 학술적 용어가 있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으로 소액 투자자의 자금을 대규모로 집합한 후 이 자금을 주로 자본시장에서 운용하는 투자 주체를 의미한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는 '저축을 집합하여 마련된 자금을 시장에 공급하는 주체'라고 정의하고 있다. 또한 유형 구분도 OECD에서는 크게 전통 기관투자자, 대체 기관투자자, 기타 운용사로 구분하고 있다. 전통 기관투자자는 연금, 투자펀드, 보험회사가 해당되며, 헤지펀드, PEF, ETF, 국부펀드 등은 대체 기관투자자, 고객의 이름으로 투자하는 기타 운용사들이 제3그룹에 포함된다.
기관투자자는 대규모로 거래하기 때문에 증권시장의 동향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미국, 영국, 일본 등 대부분 선진국들의 경우 GDP 대비 전통 기관투자자(펀드+보험+연금)의 자산 비중이 150%~250% 수준이지만 2015년 한국의 GDP대비 전통 기관투자자 자산비중은 101.2%로 주요국과 비교해 낮은 편이다.
막대한 양의 주식을 보유한 기관투자자는 주주권을 행사함으로써 기업경영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기업지배구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주식의 매각·매수를 통해 기업의 존속 여부를 결정지을 수도 있다. 따라서 기관투자자는 자금의 수탁자로서 선량한 관리자의 의무(fiduciary duty, 선관의무)가 요구된다.
우리나라 대표적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은 2018년 7월 30일 기관투자자들의 적극적인 의결권 행사를 유도하기 위한 자율지침인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의 제한적 도입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국민연금은 자본시장법상 경영참여를 원칙적으로 배제하지만 기금운용위원회에서 특별히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에 대해서는 경영참여를 할 수 있다.출처 :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930610&cid=43667&categoryId=43667
[네이버 지식백과] 기관투자자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기관투자자는 은행, 증권회사, 자산운용회사, 보험사(생보, 손보), 사모펀드, 연기금 등을 통칭해서 의미하며, 외국인 투자자들과 함께 주식시장을 주도하는 2대 투자자라 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