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23.11.20

과거 교육기관인 성균관에 관해 궁금한게 있어요.

조선시대에 성균관은 어떤 역할을 하는 교육기관이었나요?

성균관은 어떤 학문과 교육 체계를 갖고 있었나요?

또한, 성균관의 입학 조건과 선발 과정은 어떠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균관은 조선시대 국립최고교육기관으로, 인재로서 아직 성취하지 못한 것을 이루고, 풍속으로써 가지런하지 못한 것을 고르게 한다는 뜻을 가진 곳입니다. 성균관은 고려시대의 성리학과 유학을 바탕으로 한 학문 체계를 계승하고, 조선 왕조의 교육정책과 관련된 중요한 학교였으며, 조선시대 한국의 교육과 문화의 중요한 상징으로 남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균관은 한국의 옛 대학(大學)으로 그 명칭은 고려 충선왕 때 성균관으로 개명한 데서 비롯하였습니다. 공민왕 때는 국자감(國子監)이라 부르다가 곧 성균관으로 복귀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균관은 갑오개혁 이전까지 고려 말과 조선시대 관리 양성을 위한 최고 국립교육기관이었습니다.

    입학 유생의 정원은 200명으로 문과의 소과에 합격한 생원과 진사가 입학하도록 되어있었으나 부족할 경우 동, 서, 남, 중학의 사학의 생도나 공신 자제 가운데 일정한 시험을 거쳐 선발한 인원으로 보충하기도 했습니다.

    향교나 4부학강에서 최우수학생으로 추천받아야만 입학이 가능했으며 연간 300일의 출석을 달성해야 했습니다.

    조선시대가 되며 성리학 이념을 확산시키면서 사회교화를 담당할 교육기관으로 성균관이 지목되면서 성균관은 자연스럽게 조선 건국 후 국가이념인 성리학을 연구, 보급, 수호하는 기관으로 자리잡았고 과거제도의 정착으로 성균관의 기능은 관리 양성의 기능까지 담당했습니다.

    유생들이 공부하는 교과는 경전류, 자집류, 사기류, 고문류, 편찬류 등과 시부 등의 제 술이 포함 이 가운데 성균관 유생들의 교과로서 가장 중요한 것은 유학의 기본서인 사서오경이었고, 이는 성균관 유생의 교육에 있어 기본이 되는 교재였으며 과거시험에 필요한 과목의 하나였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조시대의 성균관은 인재양성을 위하여 서울에 세운 국립대학격의 유학교육 기관으로서 유학교육만 하는 기관이었으며 입학자격은 주로 양반이 자식으로 처음에는 150명으로 시작하여 200명으로 증원하였으며 양반의 자제로 1.생원과 진사 2.15세 이상으로 사학과 사서 5경중 1경에 통한자 3.공손과 3품 이상의 적자로 소학에 통한자 4. 문과 및 생원 진사시의 초시인 한성시와 향시에 합격한 자 5.관리중 입학을 원하는 자에게만 입학이 허가 되었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의 국립고등교육기관이자 최고학부 였습니다. 국립대 였던 만큼 성균관 유생은 특혜도 많았는데 우선 오늘날로 치면 등록금이니 하는 거 모두 없이 성균관에서 수업받는 건 반촌에서 하숙 생활 하지 않는 이상에야 모두 무료였고 성균관 유생만을 위한 과거 시험도 있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그랬던만큼 성균관 유생이 되는 조건은 아주 까다로워서 일단 성균관 유생이 되려면 적어도 소과 합격을 하거나 향교나 4부 학당에서 최우수 학생으로 추천 받아야만 입학이 가능했다고 합니다. 즉 진사나 생원은 달거나 소과 합격이 유력하다고 추천을 받아야 노려볼 수 있는 자리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