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투자를 잘못했을떄 물타기를 해야할까요 두고봐야 할까요?
다들 많이 고민하실거 같습니다.
주식투자를 했는데 많이 떨어진 상황에서 물타기를 해야할지
아니면 조금 지켜봐야할지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그것은 주식별로 다르다고 볼 수 있습니다
판단하기 위해서는 만약 해당 주식이 현재 내계좌에 없고 새로운 투자금이 주어진다면
지금 가격에서 해당 주식을 매수할 것인지 생각해보면 그 답을 알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장기투자이고, 앞으로 비전이 있다고 생각하면
좋은 기회라고 생각하고 물타기를 하는 편이기는 합니다.
다만, 어느정도 현금비중을 늘 확보하시고 해야 합니다.
현금비중 없이 물을 타다가 계속 하락할 수 있기 때문에 항상 예비비를 생각하시고,
적정 수준에서만 물을 타셔야 추가 하락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투자 종목에 따라 물타기를 하거나 또는 관망해야 하는 상황이 다를 수 있는데요.
해당 종목이 향후 성장 가능성이 큰 종목이라면 물타기를 하는 게 유리하고, 반대로 성장 잠재력이 낮다고 판단되시면 관망하시다가 적당한 타이밍에 손절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투자를 해서 손실 과정에서 물타기를 해야 하나 두고 봐야 하나를 물어보셨습니다.
일단 주식 종목이 미래가 있냐를 객관적으로 판단해 보시고
그 판단에 따라서 물타기를 하거나 손절할 수 있을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주식이 많이 떨어진 상황에서 물타기를 할지, 아니면 지켜봐야 할지는 신중한 판단이 필요합니다.
기업 가치에 확신이 있다면:
기업이 장기적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있다면, 저가 매수 기회로 활용하되, 비중 관리가 중요합니다.
특정 종목에 너무 큰 비중을 두는 것은 위험합니다.
불확실성이 높다면:
단기적인 시장 변동 때문인지, 기업 자체의 문제인지 파악하되, 기업 자체의 문제가 크다면 물타기는 피해야 합니다.
단기적으로 손실을 최소화하려 한다면, 손절매 후 다른 종목이나 기회를 보는 것도 방법입니다.
포트폴리오 점검: 투자 종목이 너무 편중되지 않았는지 확인하세요.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전문가입니다.
물타기 결정은 신중하게 해야 합니다.
먼저 해당 주식에 대한 확신(성장성, 재무안정성, 수익성등 객관적 자료를 근거한 확신)이 있어야 하며
그래서 해당 주식의 장기적인 상승 추세가 유지되고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반등 가능성이 80% 이상일 때만 평단가 낮추기를 고려
명확한 지지선이 있다면, 그 지지선에서 반등할 때 추가 매수를 고려
한 종목의 최대 비중은 20~30%를 넘지 않도록 주의
등의 내용을 고려하여 판단해야 할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