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우주가 무한하지 않다는 올베르스의 역설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올베르스의 역설에 따르면 우주가 무한하다고 가정할 때 밤하늘이 밝아야 한다던데, 그 말 뜻이 궁금해요.

우주가 유한, 무한한 것과 밤하늘의 밝기는 어떤 관련이 있다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되알진개미새214
      되알진개미새214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만약 우주가 무한하고 정적이며 별들이 균일하게 분포되

      어 있다고 가정하면 밤하늘은 밝아야 합니다.

      모든 방향에서 별빛이 계속해서 우리에게 도달하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밤하늘은 어둡습니다.

      이 모순을 올베르스의 역설이라고 합니다.

      밤하늘이 어두운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주론에 따르면 우주는 유한한 크기와 나이를 가지고 있습

      니다. 모든 별에서 나오는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지 못합니다.

      빛은 유한한 속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먼 별에서 나오는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우주는 끊임없이 팽창하고 있습니다. 팽창하는 공간 속에서

      빛은 점점 약해지고 빨간색으로 이동합니다.

      먼지와 가스는 빛을 흡수하기 때문에 먼 별에서 나오는

      빛이 우리에게 도달하지 못할 수 있습니다.

      올베르스 역설은 우주의 무한성 정적성 별들의 균일한 분

      포라는 가정이 잘못되었음을 보여줍니다.

      밤하늘이 어두운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으며

      이는 우주의 근본적인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올베르스의 역설은 천문학과 물리 우주론에서 논쟁되는 주제 중 하나입니다. 이 역설은 밤하늘이 어두운 이유에 대한 질문을 제기합니다.

      역설의 내용: 올베르스의 역설은 무한하고 영원한 정적인 우주를 가정했을 때, 밤하늘이 왜 어두운지에 대한 논쟁입니다. 만약 우주가 무한하고 끝이 없다면, 어떤 방향으로도 무한한 수의 별들이 존재해야 합니다. 그렇다면 어떤 시선에서도 반드시 별의 표면에 도달하게 되고, 밤하늘은 무한히 밝아야 할 것입니다.

      역설의 해결: 하지만 실제로는 밤하늘이 어두운 이유는 우주가 확장하고 있다는 사실 때문입니다. 빅뱅 이론에 따르면, 우주는 초기에 매우 작은 공간에서 시작되었으며 지속적으로 확장하고 있습니다. 확장으로 인해 먼 거리에 있는 별들은 우리로부터 멀어지게 되고, 그 결과로 빛의 파장이 늘어나게 됩니다. 이것이 적색편이 현상입니다. 적색편이로 인해 먼 거리의 별들의 빛은 우리 눈에는 더 어두워 보입니다. 따라서 밤하늘이 어두운 것은 우주의 확장으로 인한 빛의 적색편이 때문입니다.

      결론: 올베르스의 역설은 무한하고 정적인 우주를 가정했을 때의 상황을 고려한 것이지만, 실제 우주는 확장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밤하늘이 어두운 것입니다.

      이러한 관찰은 빅뱅 이론과 우주의 동적인 특성을 지지하며, 우주의 진화와 확장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베르스의 역설은 우주가 무한하다고 가정할 때, 어딘가에 항상 별이 있어야 하며 그 결과로 밤하늘이 반드시 밝아야 한다는 논리적 모순을 지칭합니다. 이는 무한한 우주에서는 어디를 보나 별이 있을 것이라는 논리적 결론을 도출하는데, 이는 현실적으로는 성립하지 않는 모순적인 상황을 보여주는 수학적 역설입니다. 따라서 이 역설은 우주의 무한성과 밤하늘의 밝기 사이에 직접적인 관련은 없지만, 논리적 모순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수학적 예시로 활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