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일등보윤
일등보윤

지구과학에 대해 이것저것 보다보니 궁금한게 생겼네요

지구과학 이것 저것 보다보니 궁금해서 질문남깁니다.

모든 별이 행성과 공통질량 중심을 가지고 있다는데

태양은 여러개의 행성을 가지고 있잖아요

그럼 태양은 각 행성마다 다른 공통질량중심을 가지고 있는건가요?

행성의 공전주기와 별의 공통질량중심으로 공전주기가 같은데

그럼 태양은 여러개의 공통질량으로 어떻게 회전을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공정한백로247
    공정한백로247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예, 태양과 태양계의 각 행성에는 무게 중심이라고도 하는 공통 질량 중심이 있습니다. 중심점은 두 물체의 결합된 질량이 균형을 이루고 주위를 공전하는 공간의 지점입니다. 그러나 태양과 행성 사이의 barycenter의 위치는 고정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것은 행성의 질량과 태양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라 다릅니다. 행성이 더 무겁고 태양에 가까울수록 무게중심이 태양의 중심에 더 가까워집니다. 태양 주위를 도는 행성의 공전 주기는 행성과 태양 사이의 거리와 태양의 질량에 의해 결정됩니다. 행성이 태양에 가까울수록 공전 속도가 빨라지고 멀어질수록 공전 속도가 느려집니다. 행성마다 태양과의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각 행성의 공전 주기가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계의 공통 질량 중심은 태양의 중심에 위치합니다. 태양은 태양계에서 가장 질량이 크기 때문에 다른 모든 천체들이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합니다. 태양계의 공통 질량 중심은 태양 중심에서 완전히 멀리 떨어진 곳에 위치하지 않고, 태양과 각 행성들의 상대적인 질량과 거리에 따라 태양 중심 주변으로 약간 흔들리는 움직임을 가지며 움직입니다.

  • 태양의 표면은 대부분 수소(전체 질량의 약 74%, 전체 부피의 92%)와 헬륨(약 24~25%의 질량, 7%의 부피) , 그밖에 철을 비롯한 니켈, 산소, 규소, 황, 마그네슘, 탄소, 네온, 칼슘, 베릴륨, 크로뮴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 태양은 태양계 총질량 99.8632%를 차지하는 G형 주계열성으로 분광형은 G2V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