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겸손한꽃게197
겸손한꽃게197

지구과학중 수성에 궁금증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중 수성에 궁금증이 있습니다.

태양에서 제일 가까운 수성은 물을 가지고

있나요? 태양에 가깝다보니 뜨거울텐데

물이 있을까라는 의문점이 듭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성은 태양에서 제일 가까운 행성으로, 태양으로부터의 거리가 매우 가깝기 때문에 매우 뜨거운 온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수성의 표면 온도는 약 430도 정도로 매우 높습니다. 이러한 환경에서 물이 존재할 수 있는 확률은 매우 적습니다.

      과학자들은 수성에 물이 존재하지 않는 이유로, 수성이 태양에 매우 가깝기 때문에 그 표면 온도가 매우 높아서 물의 존재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수성의 대기는 매우 얇아서 지구와 비교하면 매우 가볍고, 태양으로부터 매우 강한 태양풍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물분자가 굉장히 빠르게 이동하여 증발해버리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수성에서 물의 발견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로서는 수성에 물이 존재하는 것은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수성은 태양에 매우 가까운 위치에 있기 때문에 매우 뜨거운 온도를 갖고 있으며, 이러한 환경에서는 물이 존재하기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됩니다. 최근에는 수성의 어두운 부분에서 물이 생성될 가능성이 제기되었지만,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수성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이지만, 그 크기가 작아서 중력이 약하고 대기가 거의 없는 극도로 건조하고 뜨거운 행성입니다. 따라서 수성의 표면에는 물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수성의 궤도 경로에는 얼음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수성은 태양과 매우 가까이 위치해 있기 때문에 표면 온도가 400도를 넘기도 합니다. 그러나 수성의 궤도 경로에서는 이러한 높은 온도로 인해 녹을 수 있는 물 대신에 얼음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2008년 NASA의 메신저(MESSENGER) 탐사선의 탐사 결과, 수성의 극지방에 얼음이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아직 밝혀진건 없지만 과학자들은 빛이 전혀 닿지 않는 지역에 얼음이 존재할것이라고 추측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성은 태양에 가까운 행성으로 표면 온도가 매우 높아 물이 존재하기는 어렵습니다. 수성의 평균 표면 온도는 약 430°C로 매우 높은 편입니다. 이러한 높은 온도로 인해 수성의 물은 대부분 증발해버리거나, 얼어붙은 상태로 굳어져 있을 것으로 추측됩니다.

      또한, 수성의 태양과의 거리는 지구와 태양 사이의 거리보다 훨씬 가까우므로, 수성의 대기는 매우 얇아 태양의 강력한 복사선과 햇빛을 막아줄 수 있는 구조가 부족합니다. 그래서 수성의 표면은 지구보다 더 뜨거울 뿐만 아니라, 매우 건조한 환경이며, 수성의 대기는 태양풍과 태양복사선에 노출되어 소멸되기 쉽습니다. 따라서, 현재까지 수성에서 물이 발견되었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성은 태양에서 가장 가까운 행성 중 하나이며, 매우 뜨겁고 건조한 행성입니다. 수성의 평균 온도는 약 430도 섭씨로 매우 뜨겁기 때문에 물이 존재하기는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수성에서는 얼음이 존재할 수 있습니다. 수성은 궤도가 매우 타원형이며, 지표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수성의 극지방은 영원히 얼어붙은 얼음층으로 덮여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수성에는 물이 아닌 다른 화학물질로 이루어진 얼음도 존재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현재까지 수성에 대한 관측 결과 물이 직접 발견된 것은 아직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수성은 물이 기체상태로 존재합니다. 물이 존재하지 않지만 물이 존재한다는 가정하에요.

      태양과 너무 가까워서 물이 증발해버립니다.

      생명가능지대 안쪽은 기체 상태, 바깥쪽은 고체라고 생각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