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수요일
수요일

광역성 소나기란 어떤비를 말하는건가요?

요즘다시 날씨가 안맞기 시작하는데. 날씨를 보면 매번 보면 광역성 소나기 30%라고나오는데 무슨 소나기를 말하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일반 소나기와 달리 넓은 지역에서 내리는 소나기를 광역성(廣域性)소나기라 하며, 반대로 좁은 지역에서 내리는

    소나기를 국지성(局地性)소나기라고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혜수 전문가입니다.

    광역성 소나기는 특정 지역 전체에 걸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는 소나기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광역성이라는 표현은 넓은 지역에 걸쳐 소나기가 내릴 가능성이 있다는 것을 뜻합니다. 일반적으로 소나기는 국지적이고 짧은 시간 동안 강하게 내리는데 광역성 소나기는 그 영향의 범위가 더 넓은 지역을 포함할 수 있는 것입니다.

    그래서 광역성 소나기30%는 해당 지역에 30% 확률로 광역성 소나기가 발생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이만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광역성 소나기는 넓은 지역에서 짧은 시간 동안 강하게 내리는 비를 말합니다. 30%라는 표현은 예보된 지역 중 30%에서 소나기가 내릴 가능성을 나타냅니다. 최근 날씨가 불규칙한 이유는 기후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광역성 소나기는 넓을광 구역역 자를 써서 만든 관용어로 넓은 범위에 내리는 소나기를 뜻합니다. 특정한 의미를 가진 건 아니라 일반적인 광역의 의미와 동일합니다.

    유사어로 국지성 소나기가 더 유명하긴 합니다. 국지성은 광역성과 반대로 구역 국자 대지지 를 써서 일부지역에만 내린다는 의미로 보통 주로 사용됩니다.

    반대말로 이해할수도 있는데 넓다와 일정지역에만 내린다는 의미로 서로 반대말은 아닙니다. 소나기가 얼마이상의 면적으로 올때 국지성을 쓰고 광역성을 쓴다는 정의가 없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