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유능한스라소니93
유능한스라소니9323.02.01

낮에 보이는 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낮에 달이 보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햇빛이 없어져야 달이 보이는걸로 생각했는데 가끔 낮에도 보이더라구요.

낮에도 달이 보이기도 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01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낮에는 태양의 빛이 너무 밝아서 달이 보이지 않지만, 태양의 빛이 구름에 가리거나 어두운 날씨이거나 태양과 달의 거리가 멀어지는 경우 낮에도 달이 보일 수 있습니다. 태양과 달의 각도에 따라서 낮에 보이는 달의 밝기가 변하는데, 아침 해가 뜰 무렵 달이 서쪽에 있거나 해가 질 무렵 동쪽에 달이 있는경우 태양 빛의 영향이 작아져서 낮달이 선명하게 보이기도 합니다. 그래서 태양의 고도가 낮아져서 영향이 줄어드는 가을과 봄에 낮달이 더 자주 보이게 됩니다.


  • 해와 달이 동시에 보일 수 있습니다.

    사실 달은 낮에도 보입니다.

    달은 서쪽에서 동쪽으로 이동하고 하루에 13도 정도 이동하게 됩니다.

    달의 공전에 의해 달의 모양이 달라지는데,

    달이 보이는 이유는 태양의 빛을 반사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지구, 태양, 달의 각도에 따라 낮이나 아침에 달이 보일 수 있습니다.


  • 낮에 달이 보이는 것은 주로 겨울철에 발생 됩니다.

    이는 태양의 광도보다 달의 광도가 더 크기 때문에 낮에 달이 보이는 것입니다. 광도의 차이에의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겨울철 지구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어서 태양빛을 받는 양이 적어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공전주기가 약 30일정도입니다. 그래서 15일정도는 달이 보이고, 나머지 15일정도는 안보입니다.

    그런데, 달이 순간이동 하는게 아니고, 이동을 하기 때문에 위치에 따라 다른 모양으로 보입니다.

    달은 태양빛을 반사합니다. 그런데, 낮에는 태양빛이 더 밝기 때문에 달이 있지만, 안보이거나 흐리게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