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rogermaan
rogermaan

새들이 날개짓으로 하늘을 할 수 있는 원리는 무엇입니까?

우리 인간도 하늘을 날 수 있으면 참 좋을 텐데 비행기 같은 도구 말고요 몸 그대로 이용해서 새들은 날개짓으로 하늘을 날으는데 대충은 이해하지만 어떤 원리로 하는 걸 알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새의 날개도 비행기의 날개처럼 윗면은 둥글게 아랫면은 납작하게 되어 있습니다. 날개의 위와 아래의 속도 차이가 발생하여 위로 떠오르는 양력이 작용합니다. 새는 날개를 올릴 때 깃을 세워서 저항을 작게하고, 날개를 내릴 때 깃털을 닫아서 공기저항을 키워서 상승합니다. 일부 새는 상승기류 만으로 공중에서 비행할 수 있도록 충분한 날개의 길이와 폭을 가지고 있습니다.

    • 새들은 가슴 근육이 매우 발달하였고, 뼈가 비어 있는 매우 가벼운 동물입니다.

      새가 날개짓을하면서 생긴 추진력으로 하늘을 날 수 있고,

      날개를 움직이면서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기 때문에 위, 아래로 움직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