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3

섭씨와 화씨의의 차이가 궁금합니다.

우리나라은 통상적으로 섭씨를 사용하는데,

외국은 화씨를 온도 단위로 사용하더라구요.

이 두개의 무슨차이가 있어서 각각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화씨는 1720년경에 독일의 파렌하이트가 처음으로 제안한 온도의 단위이며,
    순수한 물이 아닌 바닷물이 어는 온도와 끓는 온도 사이를 180 등분해서 온도 단위를 정했습니다.
    그렇게 하다 보니 순수한 물이 어는 온도는 0 도가 아니라 32 도가 되었고, 끓는 온도는 212 도가 되었다. 이 온도를 파렌하이트의 이름을 따서 F로 표시하였고, 미국등 몇개 나라만 사용하는 온도 단위 입니다.

    섭씨는 1742년에 스웨덴의 셀시우스가 제안한 것으로 요즘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통용되고 있다.

    1기압하에서 얼음의 녹는점을 0 ℃, 물의 끓는점을 100 ℃로 하여 그 사이를 100등분하여 한 눈금의 온도차를 1 ℃로 했습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22.12.24

    화씨온도는 대부분 영미권에서 많이 쓰였으나 현재는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나라는 섭씨 온도계를 사용합니다.

    현재 화씨 온도계는 미국, 미얀마, 라이베리아 정도의 나라가 사용합니다.

    화씨, 섭씨 온도가 서로 다른 이유는 온도의 기준점을 정의한 사람이, 필요에 따라 정한것이라 다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발견자와 정의의 차이입니다.

    섭씨는 1atm에서 물이 어는 점을 0, 끓는 점을 100으로 하여 100등분한 것이고 화씨는 물이 어는 점을 32, 물이 끓는 점을 212로 하여 이 사이를 180등분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1. 섭씨 (Celsius)

    스웨덴 천문학자인 셀시우스 (Celsius)가 1742년에 제안하여, 영어로 셀시우스, 한글로는 섭씨라고 말을 합니다.

    섭씨온도는 1기압에서 물의 어는점 0도, 끓는점 100도를 표준으로 하여 100으로 나눈 온도체계이며, 단위는 ℃로 표현합니다.

    2. 화씨 (Fahrenheit)

    화씨는 독일의 물리학자인 파렌하잇 (Fahrenheit)이 1724년에 제안하였으며, 한글로는 화씨라고 말합니다.

    화씨온도는 1기압에서 물의 어는점 32도, 끓는점 212도를 표준으로 하여 180으로 나운 온도체계이며, 단위는 ℉로 표현합니다.

    이 온도 개념이 어떻게 만들어지게 되었는지는 다양한 버젼이 있는데, 그 중에 개인적으로 가장 신빙성이 있다고 생각하는 버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단 화씨 0도를 1708년과 1709년 사이에 가장 낮은 온도 (섭씨 -17.8도)를 정했고, 파렌하잇의 체온 화씨 100도 (인체의 체온이라면 화씨 98.6도인데, 그가 감기에 걸려 열이 있었거나 온도계 자체가 부정확했던 걸로 추정됩니다)로 정한거죠.

    최초에 이걸 12등분하고 각각을 다시 8분등하여 총 96등분하게 되었고, 이런 식으로 계산하니 물이 어는 점은 32도, 끓는점은 212도가 된 것이라라는 썰이 있습니다.

    화씨의 경우 1도가 섭씨의 약 5/9정도로 세분화되어 있으니, 사람이 사는 환경에 대해서 조금 더 세밀하게 표현을 할 수 있겠죠

    참고로, 화씨를 섭씨로 변환하는 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 = 9/5℃ + 3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