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예금·적금 이미지
예금·적금경제
뷰포인플레이터9731
뷰포인플레이터973123.09.01

1금융,2금융,3금융권처럼 금융권을 나누는 기준이 무엇인가요?

제가 금융에 대해서는 예금,적금,대출,이자 이런거 밖에 모르지만

뉴스나 언론에서 금융권을 부를때 보통 큰 은행들은 1금융권이라고 칭하던데요.

나머지 2금융권, 3금융권은 어떤 기준으로 나누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금융권을 등급으로 나누는 특별한 이유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그리고 간접금융의 성격이 갖고 있습니다.

    은행법을 적용을 받지 않는다는 것이 2금융권의 차이점입니다. 2금융권은 직접금융의 성격을 갖고 있어 자금의 공급자가 수여자에게 직접 융통합니다.

    그런데 3금융권은 제도권 밖의 사금융입니다. 사채업 대부업에 해당됩니다. 물론 대부업의 경우 합법적으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융권은 흔히 은행법이란 법률을 적용받는지 여부가 중요한 기준 중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선 금융은 안전이 우선 입니다.그래서 이렇게 안전성을 위주로 분류를 하는데 제1금융권은 '예금자 보호 및 대출' 측면에서 안전한 그룹 들도 우리가 알고 있는 국내 은행 들이 여기에 속합니다. '제2금융권'은 보험회사, 증권회사, 카드회사, 캐피탈, 상호저축은행 등을 말하는데 돈을 빌릴 수 있는 자격과 대출 신청 절차가 제1금융권에 비해 간편하긴 하지만 하지만 이자가 상대적으로 비쌉 니다. 일반 은행에서 돈을 빌릴 수 없는 사람이 2금융권을 찾는데 제3금융권'은 1·2금융권에 속하지 않는 나머지 금융기관을 지칭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의 경우에는 은행법을 적용받고 2금융권은 여신전문업법 그리고 3금융권은 대부업기준을 적용받는다고 해요

    이렇게 금융권을 나누게 된 것은 1금융권은 자본금의 기준이 엄격하고 대출의 규제가 까다로워서 서민들이 지원을 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보니 그보다 기준이 완화된 금융권을 만들었다고 볼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2금융은 은행이 아닌 다양한 금융기관들을 포괄하는 말로, 1970년대부터 당시 광범위했던 사금융 시장을 제도권 안으로 포함하고, 나아가 경제 발전에 필요한 자금 수요의 다양화를 꾀하기 위해 발전해 왔다. 은행법의 적용을 받지 않으며 중앙은행의 규제를 받지 않는다. 3금융은 사채시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과 2금융권의 차이는

    은행법의 적용유무입니다.

    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고

    2금융권은 받지 않습니다.

    3금융권은 대부업법 등에 규제를 받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금융권은 은행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이에 반해, 2금융은 은행법을 적용받지는 않으나 다른 금융 관련 법의 적용을 받습니다.

    3금융은 금융위원회의 허가를 받지 않아 법적으로는 금융권에 해당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3금융권에서 대출 등을 받게 되면 금리가 1금융/2금융에 비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