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유아교육

진지한석화구이
진지한석화구이

김치를 전혀 먹지 않는 아이에게는 어떻게 접근하는 것이 좋을까요?

담임 선생님과 상담을 하면서 알게 된 사실인데, 아이가 급식에서 김치를 전혀 먹지 않거나, 받더라도 몰래 버리려고 한다고 합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어떻게 도와주는 것이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김치나 특정 음식을 먹지 않는 이유를 알아보는 것이 첫 번째 단계입니다. 그 음식에 대해 싫어하는 맛이나 질감이 있을 수 있고, 혹은 김치에 대해 부정적인 경험이나 거부감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이와 대화를 통해 그 이유를 파악하고, 무리하게 먹이기보다는 긍정적인 경험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세요. 예를 들어, 아이가 좋아하는 다른 반찬과 함께 조금씩 김치를 시도해 보거나, 다른 방식으로 김치를 활용한 요리(예를들어, 김치전, 김치볶음밥 등)를 만들어 보세요. 또한, 식사 시간을 즐겁고 편안한 분위기로 만들어주어 아이가 음식을 거부하지 않도록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의 감정이나 의견을 존중하며, 서서히 음식에 대한 긍정적인 경험을 쌓아갈 수 있도록 해주세요.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민희 유치원 교사입니다.

    김치를 전혀 먹지 않는 아이들의 경우에는 김치를 싫어 하는 이유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따라서 이 경우에는 아이들에게 김치를 억지로 먹이는것도 보다는 우리 아이가 왜 김치를 싫어 하는지를 파악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이러한 활동을 통해서 우리 아이들이 김치를 좋아하도록 하는 방법을 모색할 수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우리 아이들을 위해서는 필수적인 부분이라고 생각을 하기에 참고해서 진행을 해주시는게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에게 김치를 전혀 먹지 않거나, 급식에서 몰래 버리려고 하는 상황은 꽤 흔한 일입니다. 여러 가지 이유로 아이들이 김치를 싫어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다루는 방법도 섬세하게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아이의 선호도와 상태를 파악하고, 긍정적인 태도로 접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이가 김치를 거부할 때, 강제로 먹이기보다는 조금씩 시도하는 것이 좋습니다. 처음에는 아주 적은 양의 김치를 조금씩 시도해 보세요. 예를 들어, 김치의 양을 조금 줄여서 간단한 반찬처럼 제공하고, 아이가 좋아하는 다른 음식을 함께 제공하여 부담감을 줄여주세요. 아이에게 김치를 먹이지 않으려는 이유는 맛, 매운 정도, 익숙하지 않음 등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를 해결하려면 아이가 천천히 적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양한 김치 요리법, 부담 없는 양으로 시도, 그리고 긍정적인 경험을 통한 인식 변화가 필요합니다. 가장 중요한 점은 아이의 취향과 속도를 존중하면서 접근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김치를 꼭 먹여야한다는 고정관념에 사로잡히지 않는 것도 중요합니다. 김치는 나트륨이 너무 많기 때문에 아이의 몸에 좋다고 할 수는 없어요. 꼭 먹이고 싶다면 백김치를 주세요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와 부드러운 대화를 통해서 김치의 어떤 부분이 먹기 힘든지 물어 보세요

    그리고 먹기 힘들어 하는 부분을 최대한 줄여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김치 국물만 이용하거나, 김치를 잘게 썰어서 김치 볶음밥을 함께 만들어서

    식사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