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로맨틱한호박벌83
로맨틱한호박벌83

Ips 유도만능줄기세포 연구에 대해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는데 최근연구인 싱클레어의 IPS를 통한 역노화 기술이 가능성이 없다고 결론이 났다고 하던데 그게 사실인가요?

어떤분이 논문을 보고 예기하더라구요.

P53 사멸이 원인이라고 하던데.

가능성이 없다고 결론이 났다는건 더이상 IPS를 통해연역노화 연구를 하지 않는다는건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베스트셀러 ‘노화의 종말’ 저자로 노화 연구의 권위자인 데이비드 싱클레어하버드대 의대 교수가 개발 중인 약으로 인간의 ‘역노화(Reverse Aging)’가 가능하다고 주장했다가 허위·과장 홍보라는 학계의 비판에 직면했다고 하는데요, 문제의 제품은 싱클레어가 공동 설립한 회사 ‘라이프 바이오사이언스’가 개발 중인 유전자 치료제입니다. 싱클레어는 새로운 치료제로 원숭이와 개의 노화를 되돌리고 시력을 회복시켰다며 노화 역전은 이제 인간에게서 이뤄질 것이라고 주장했는데요 하지만 그가 주장하는 노화의 ‘역전’이 정확히 무엇을 의미하는지, 측정은 어떻게 이뤄졌는지 설득력 있는 논리가 제시되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되었습니다. 앨버트 아인슈타인 의대 노화연구소장인 니르 바르질라이는 동물 생명과학에 대한 싱클레어의 관심은 상업적으로 변질됐고 도를 넘었다고 지적했다는데요, 앞으로 어떻게 될 것인지 지켜보아야 할 것 같습니다.

  • 최근 싱클레어의 IPS(유도만능줄기세포)를 통한 역노화 기술에 대한 연구는 아직 진행 중이며, 전혀 가능성이 없다고 결론지어진 것은 아닙니다. 싱클레어 팀은 여전히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활용하여 노화를 역전시켜보려는 시도를 계속 하고 있습니다. 이들 연구에서는 Yamanaka 요인을 사용하여 세포의 노화를 되돌리는 방법을 탐구하고 있습니다.

  • IPS 유도만능줄기세포를 활용한 역노화 연구의 가능성이 완전히 배제되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일부 연구 결과에서 p53 등 특정 유전자의 발현 변화로 인해 세포사멸이 유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지적되었지만, 이는 연구의 한계점일 뿐 전반적인 가능성을 부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실제로 IPS 세포를 활용한 역노화 연구는 여전히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세포 재프로그래밍 방식의 최적화, 안전성 제고, 세포노화 관련 유전자 조작 등 다양한 방면에서 연구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연구 결과만으로 IPS 세포 기반 역노화 연구의 가능성 자체를 완전히 배제하기는 이르며, 향후 추가적인 연구 성과에 따라 그 가능성은 열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