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국내주식은 시총순위안에드는 기업도 안전자산이 아닐까요?
안녕하세요 대범한애벌래285입니다.
미국주식의경우 큰 회사에 투자시
수실은 적더라도 안전자산으로 분류되는데
우리나라는 시총높은회사도 불안한 이유가먼가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의 모럴해저드가 많고 상장된 회사가 주주의 이익을 위해 움직이게 되어있지 않고
이사진들을 위해 움직이게끔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기업의 선택 하나하나가 주주의 이익과는 반대로 흘러가는 것이고 이를 제어할 수 있는것은
상법개정 뿐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물론 미국도 안전자산이라고 부르는 개별종목 주식은 없는데, 시총이 탄탄한 기업은 장기적으로 우상향 가능성이 높아서 그렇게 부르긴 합니다.(시총이 높은 테슬라, 애플에 투자하고도 손실을 본 사람이 많아서 안전자산이라고 부르긴 애매하죠)
하지만 우리나라 기준 시총이 높은 삼성전자나 카카오, 네이버 등은 지속 우상향이라고 보기엔 각종 장애물(코리아디스카운트, 세력, 정부정책 등)이 많아서 미국 주식보다도 훨씬 덜 안전하다고 인식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 안전자산이라고 불리는 것은 예적금, 금 등을 의미하는데요.
이에 반해 주식은 아무리 우량주, 시가총액이 높다고 하더라도
정말 어떻게 될 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IMF라던가, 서브프라임모기지 같은 사고가 터졌을 때에
흔히 알고 있던 대기업들도 도산하기도 했었기 때문에,
주식이라는 것은 정말 한치 앞을 알 수 없습니다. 즉, 안전자산이라고 부르기는 어렵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주식같이 원금보장이 안되는 금융자산은 안전자산으로 분류를 일반적으로 안하죠! 보통 사람들 생각이 안전자산은 원금이 보장되는 예적금입니당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내 주식은 시총순위 안에 있어도 안전자산이 아닌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주식은 안전자산으로 분류하기 어렵지만
국내 주식중 시총 순위가 높더라도 언제 물적분활을 통해서
알자 사업을 따로 상장할 지 모르기 때문입니다.
한국에서는 시총이 큰 회사에 대한 투자도 불안 요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이는 경제의 수출 의존도와 외환 시장의 변동성, 정치적 안정성 등의 요소 때문입니다.
반면 미국의 경우 시장 구조와 경제 환경이 안정적이며, 기업들이 글로벌 경쟁력을 가지고 있어 안전한 투자 환경을 제공받습니다.
미국 기업들은 엄격한 회계 기준과 재무 정보 공개를 통해 투자자에게 신뢰와 안정감을 제공하기 때문에 안전자산으로 보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국내주식이 시총순위안에 들어가더라도 안전자산으로 분류할 수 없는 이유로는 기업의 가치는 단순히 시가총액으로 결정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시가총액은 주식 시장에서 거래되는 회사의 가치를 나타내는 지표이지만 이 가치가 항상 회사의 실제 가치와 일치하지는 않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국내 주식은 시가총액이 높은 회사라도 경제 상황이나 정책 변화에 따라 주가가 많이 변할 수 있습니다. 미국 주식은 세계적으로 큰 시장이어서 안정성이 더 높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그래서 우리나라 주식은 큰 회사라도 안전자산으로 보기 어려운 경우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