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알루미늄도 보온되는 특징이 있나요?

오늘 컵 선물을 받았는데 스텐은 비싸서 안사고 알루미늄같은 느낌으로 도금해놓은거 같네요. 표면처리요. 그러면 플라스틱보다는 찬음료고 오래 시원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알루미늄은 열 전도성이 높은 금속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은 열을 잘 전달하고 전도하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알루미늄은 열을 보온하는 데에는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알루미늄은 열 전도성이 높기 때문에 외부에서 들어오는 열이나 내부에서 발생하는 열을 빠르게 전달하고 분산시키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알루미늄으로 만들어진 물체는 열이 잘 전달되어 보온 효과가 낮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알루미늄 호일은 열을 반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래서 외부에서 들어오는 열도 반사되고 내부에서 나가려는 열도 반사되어 다시 안으로 들어오게 되어서 단열효과가 있는 것입니다. 말씀 주신 보온병의 원리는 보온병은 이중구조로 되어 있어서 음료가 들어 있는 통과 외부 벽 사이에 진공상태로 되어 있어서 열의 전도가 되지 않도록 만들어져서 진공상태에서는 열이 전도 되지 않아서 더 오래 따뜻하고 차갑게 음료를 먹을 수 있는 것입니다.

    • 도금된 알루미늄 컵은 스텐레스 스틸에 비해 열전도성이 낮을 수 있으며, 도금 처리의 내구성이나 품질에 따라 성능이 다를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스텐레스 스틸보다는 열 전달이 빠르고 내열성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오래 시원한 상태를 유지하기는 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또한, 스텐레스 스틸은 알루미늄 도금에 비해 내부에서 발생하는 화학 반응에 대한 영향이 적기 때문에 음료의 맛을 변경시키지 않습니다. 하지만 도금 처리된 표면에는 상황에 따라 마찰이나 긁힘으로 인한 도금의 파손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음료의 맛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헌 과학전문가입니다.


      알루미늄이라는 금속은 열 전도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 온도를 오래 유지하는 보온역할은 하기 힘들듯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우재 과학전문가입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고매한 크낙새 25님께서 질문주신것과 같이 알루미늄 도금 처리가 된 컵이 찬음료도 오래 시원하게 드실 수 있습니다. 실제로 알루미늄 재질로 나온 여러 텀블러도 존재하고, 스텐 재질보다 가볍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으나 열전도도가 높아 비교적 스텐에 비해서는 보온성이 떨어진다는 평이 있습니다.

      말씀하신 플라스틱 보다 일반적으로 볼때에는 알루미늄이 보온성이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으나 이중벽 구조라던가 말씀하신 도금코팅 등의 기술들로 알루미늄의 단점을 보완한 컵들이 많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하여, 꼭 플라스틱보다 보온성이 나쁘다고는 볼수 있고 구조적으로도 한번 비교를 해보셔야 할것으로 판단됩니다.

      질문자님의 궁금증해소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네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아니오. 알루미늄은 금속 중 하나로서 전기 및 열을 잘 전도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그러나 알루미늄은 보온 특성은 상대적으로 낮습니다. 즉, 알루미늄은 열을 빠르게 전도하고 방열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보온성이 낮다고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