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비둘기
비둘기

걸프전이 일어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중동에서 막강한 힘을 내던 이라크가 걸프전쟁에서 미국에 참패를 하면서 국가의 위상이 많이 꺽이게 되었고 결국에는 후세인정권이 후에 몰락을 하게되는 시발점이 되었습니다.

그렇다면 지리적인 접점이 없는 이라크와 미국이 걸프전쟁을 치루게 된 계기는 무엇이었는지 질문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990년 8월 2일 이라크가 인구 60만의 작은 이웃나라 쿠웨이트를 전격 침공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수요공급의 원칙상 기름생산을 줄여 값을 올리자는 게 사담 후세인의 생각인데, 쿠웨이트는 여러 가지 국내 사정으로 산유국 간에 약정한 할당량 이상으로 기름을 생산한 것이 침공의 한 가지 이유입니다.

    또 하나의 이윤는 쿠웨이트와 이라크 국경에 겹쳐있는 라말라 유전지대가 원인이었습니다.

    이 지하 유전 지대 중간을 가로질러 국경선이 그어져 있는데, 어느 한편에서 기름을 다른 편보다 많이 그리고 빨리 뽑아내면 국경 건너편의 기름이 그쪽으로 빨려 나간다고 이라크는 주장하였습니다.

    쿠웨이트는 시설투자를 계속 해온 결과 수월하게 기름을 많이 채취하게 됩니다.

    이렇게 이라크 쪽에 있는 기름이 쿠웨이트 쪽으로 자꾸 흘러가니까 후세인은 쿠웨이트가 이라크의 석유를 훔쳐간다고 생각했던 겁니다.

    그래서 십 몇 억 달러를 쿠웨이트 왕에게 청구했는데 받아들여지지않자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국제 사회의 빗발치는 철수 압력에도 아랑곳 않고 후세인은 버티며 협상 자리에선 팔레스타인 문제와 연계 해결을 주장했습니다.

    결국 미국의 공습이 시작됐고, 150여개의 유정에 불을 놓으며 저항하던 이라크군은 미군의 지상 공격이 시작되자 맥도 못추고 패퇴했습니다.

    미국은 이런 과정을 무난히 처리함으로써 냉전 이후 유일 초강대국 건설의 초석을 놓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전쟁에서 많은 나라들은 인간수보다는 좋은 장비가 전쟁의 승리요건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라크는 100만의 군대, 미군은 70만정도로 적었는데 이라크군이 미군앞에서 기를 쓰지 못한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미국은 다국적 연합군을

    결성(전 세계 39개국 참전)하여

    대규모 작전을 펼쳐

    쿠웨이트를 지키려고 했던 그 속내는


    주요 석유 생산국으로 너무 중요한

    지역이기 때문에 여기서 문제가

    잘못되면 이 나라만의 문제가 아니라

    전 세계가 흔들리기에,

    모든 나라들이

    그 석유 중요성을 알고 있었던 것이다.




  • 안녕하세요. 걸프전은 1990년 8월 2일 이라크군이 쿠웨이트를 침략하면서 발생하였습니다. 이전부터 이라크는 쿠웨이트에 대한 경제적인 이익을 추구하고 있었으며, 쿠웨이트의 원유 생산량 증가로 인한 원유 가격 하락을 막기 위해 꾸준히 압력을 가하고 있었습니다. 이에 이라크는 1990년 8월 2일 쿠웨이트를 침략하여 국제 사회의 비난을 받게 되었고, 이후 미국 등 다른 국가들이 이라크를 군사적으로 타격하면서 걸프전이 시작되었습니다. 걸프전은 1991년 2월 28일에 정식으로 종전 선언이 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쟁은 1990년 8월 2일 이라크가 인구 60만의 작은 이웃나라 쿠웨이트를 전격 침공하면서 시작됐습니다.

    애당초 쿠웨이트를 자신들 영토의 일부라고 주장해오던 이라크의 사담 후세인은,

    9년을 끈 이란-이라크 전쟁 후의 민심 수습을 위해 쿠웨이트 침공이란 카드를 빼든 것입니다.

    쿠웨이트 침공의 직접적인 이유는 두 가지입니다.

    수요공급의 원칙상 기름생산을 줄여 값을 올리자는 게 사담 후세인의 생각인데,

    쿠웨이트가 여러 가지 국내 사정으로 산유국 간에 약정한 할당량 이상으로 기름을 생산한 것이

    침공의 한 가지 이유입니다.

    당시 200만 배럴을 할당량으로 정했는데도 불구하고 쿠웨이트에서 250만, 300만 배럴까지 기름을 채취해

    국제유가가 내려간 건 사실입니다.

    두 번째 이유는 쿠웨이트와 이라크 국경에 겹쳐있는 라말라 유전지대가 원인이었습니다.

    이 지하 유전 지대 중간을 가로질러 국경선이 그어져 있는데,

    어느 한편에서 기름을 다른 편보다 많이 그리고 빨리 뽑아내면 국경 건너편의 기름이

    그쪽으로 빨려 나간다고 이라크는 주장하였습니다.

    그러니 땅 속에 있는 기름을 누가 효율적으로 뽑아 내느냐하는 묘한 경쟁상황이 발생했던 겁니다.

    이라크가 이란과 전쟁을 하느라 여러 가지 장비가 노후돼 생산량이 늘어나지 않는데 반해

    쿠웨이트는 그 간 계속 시설투자를 해온 결과 기름을 많이 채취하게 됩니다.

    이렇게 이라크 쪽에 있는 기름이 쿠웨이트 쪽으로 자꾸 흘러가니까 후세인은 쿠웨이트가

    이라크의 석유를 훔쳐간다고 생각했던 겁니다.

    그래서 십 몇 억 달러를 쿠웨이트 왕에게 청구했는데 받아들여지지 않아 전쟁을 일으켰습니다.

    사담 후세인은 침공 후 국제 사회의 빗발치는 철수 압력에도 아랑곳 않고 버텼고,

    협상 자리에선 팔레스타인 문제와 연계 해결을 주장했습니다.

    결국 미국의 공습이 시작됐고, 150여개의 유정에 불을 놓으며 저항하던 이라크군은

    미군의 지상 공격이 시작되자 맥도 못추고 패퇴했습니다.

    물론 미국도 전쟁 수행이 쉽지는 않았습니다.

    이해 관계가 복잡하게 얽힌 동맹을 유지하기 위해 허약한 고르바초프의 러시아를 지원해야 했고,

    이스라엘과 아랍의 강경파를 다독여야 했으며, 중국의 천안문 사태도 대충 넘어가야 했습니다.

    그러나 미국은 이런 과정을 무난히 처리함으로써 냉전 이후 유일 초강대국 건설의

    초석을 놓을 수 있었습니다.



    이 전쟁에서 많은 나라들은 인간수보다는 좋은 장비가 전쟁의 승리요건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라크는 100만의 군대, 미군은 70만정도로 적었는데 이라크군이 미군앞에서 기를 쓰지 못한것입니다.

    그리고 미국은 방송을 통해서 전쟁을 마치 게임처럼 방송해서

    사람들의 전쟁에 대한 감각을 무디게 하는 작전을 쓴 것으로도 평가받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걸프전은 이라크의 후세인이 쿠웨이트를 과거 이라크의 영토라고 주장하며 쿠웨이트를 침공하면서 일어나게 되었습니다.

    사담 후세인이 통치하던 이라크가 쿠웨이트는 과거 이라크의 영토였다며 침략하고 미국, 영국,프랑스, 사우디아라비아, 소련 등 30여개 나라가 국제연합의 결의와 미국의 주도 하에 다국적군을 결성해 쿠웨이트를 지원함으로 벌어진 전쟁입니다.

    이라크 침공 직후 쿠웨이트 왕가는 사우디아라비아로 피신하여 망명정부를 수립하고 이에 미국을 중심으로 한 서방 각국은 8월 2일부터 12건에 이르는 대이라크 유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이를 통해 이라크를 침략자로 규정하고 이라크군의 즉각적인 쿠웨이트 철수를 요구하였지만 이라크는 이를 거절합니다.

    국제 연합은 쿠웨이트 왕정복고, 대 이라크 무역제재 등의 강력한 이라크 응징을 결의하였습니다.

    유엔 안보이사회는 1991년 1월 15일까지 쿠웨이트에서 철군하지 않을 경우 이라크에 대한 무력사용을 승인하는 결의안을 통과시켰고 이를 전후아혀 미국이 대 이라크 전에 대비한 다국적군의 결성을 주도함으로 43만의 미군을 포함한 34개국의 다국적군 68만명이 페르시아만 일대에 집결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걸프전 미국 중학교 때 배운 내용입니다. 미국의 석유 시작이 크게 위축 되었고 이라크의 석유 시장이 활성화 대서 막 석유 가격도 오르고 막 다른 나라들 경제적으로 좀 어렵게 하니 아예 이 석유를 뺏으려고 걸프전을 일으키다가 실패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