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육아

유아교육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눈에띄게딱딱한라임나무

아이 초등학교 수학문제 어떻게 가르쳐주시나요?

아이가 수학 문제를 푸는데 어려운게 있다고 가르쳐달라고 해서 가르쳐줬는데 이해를 못합니다. 그래서 여러번 가르쳐줬는데도 이해가 안된다고 도리어 화를 냅니다. 이럴때는 어떻게 하는게 좋으까요? 아이 머리가 제 설명을 이해 못하는 거겠죠? 어떤식으로 설명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수학적인 문제의 대한 이해가 부족한 이유는

    말 그대로 아이가 그 문제를 받아들이고 습득 하는데 있어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기 때문 입니다.

    아이가 이해력이 부족하다면 아이가 문제를 이해하고 받아들일 때 까지 아이의 눈높이에 맞춰 반복적으로 설명을

    해주면서 아이의 이해를 도와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이해를 하지 못하는 부분이 크면 그 문제의 상황을 직접 대입하여 알려주거나, 아이가 좋아하는 물건을

    대입하거나, 그림을 그려서 문제적 부분을 이해 시켜주면 좋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아이가 풀 수 있는 쉬운 문제를 매일 꾸준히 풀면서 기초 실력을 쌓아 가는 방식으로 수학 공부를 합니다.

    어려운 문제를 풀면서 아이가 이해도 못하고 수학에 흥미도 잃어 버리면 학습을 지속하기 힘들어 집니다.

    단계 별로 아이가 이해한 부분만 학습하고 나머지는 다음날 학습을 하면서 아는 문제 위주로 많이 풀어 보도록 합니다.

    풀이 과정을 따라 적으면서도 어려운 부분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한 문제씩 엄마가 설명하고, 아이가 따라 설명하면서 이해를 시켜주세요.

  • 안녕하세요. 이세리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초등학생의 발달 단계에서는 아직 추상적인 개념보다는 눈에 보이고 손으로 만질 수 있는 구체적인 조작물을 통해 수학 개념을 배우는 것이 더 효과적입니다.

    아이가 수학 문제를 이해하지 못할 때는 같은 설명을 반복하기보다 문제를 더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방법을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수학 조작 교구나 그림, 수직선 같은 시각적인 자료를 활용하면 이해를 돕는 데 효과적입니다. 또한 문제를 한 번에 설명하지 말고 작은 단계로 나누어 차근차근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식을 세우기 전에 문제 상황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그다음 수식으로 옮겨가는 방식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석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가 이해할수있게 설명하시면됩니다

    그게 어렵다면 학습지를 하거나 학원등에 도움을 받는게 좋습니다.

    교육을 해보지 않은 어른의 입장에서는 아이의 이해를 모르기에 설명하는게 어려울수있어요

  • 아이 초등학교 수학문제를 어떻게 가르쳐주는 것이 좋은지 궁금한가봅니다.

    아이가 수학을 좋아하게 만드는 비결은

    개념을 말로 설명해주기, 틀린 문제는 함께 원인 찾기, 매일 10~15분씩 꾸준히, 생활 속 수학 활용하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어떻게 보면 아이가 이해하기 힘들 수도 있고

    설명이 어려울 수도 있겠습니다.

    만약 아이와 갈등이 심해진다면 교육기관의 도움을 받는 것이 훨씬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들이 어려운 문제를 이해 못할 때는 설명 방식을 바꾸는게 효과적입니다. 같은 말도 아이 눈높이에 맞게, 그림이나 예시, 일상 생활과 연결해 설명해보세요. 또한 아이에게 생각할 시간을 충분히 주고, 잘못된 답도 인정하며격려하는 태도가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