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이지로운블루밍618
이지로운블루밍618

아이의 엄지손가락 빠는 습관은 어떻게 해주는게 좋을까요?

아기때도 잘안하던 손가락 빠는 습관입니다. 어린이집 다니는 아이가 무슨 이유에서인지 갑자기 습관적으로 엄지손가락을 빠는 모습을 보인다면, 어떻게 조취를 취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아이가 손가락 빠는 습관이 있는데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가 궁금한 것 같습니다.

    그림책 중에서 '콧구멍을 후비면'이라는 책이 있는데 함께 읽어보고 대화를 나눠보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빠는 이유는 스트레스 완화, 자극을 통한 관심 끌기, 마음의 안정을 위해서라고 합니다.

    해당 행동을 멈추게 하기 위한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아이와 스킨십을 많이 하고 아이가 손가락을 빨면 아이를 안아주거나 손을 잡아주세요.

    손가락을 빠는 아이에게 손가락을 움직여야 하는 놀이 신체 놀이 등을 통해 놀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는 방법입니다.

    아이가 좋아하는 캐릭터 밴드를 손가락에 붙여주고 손가락을 빨면 안되는 이유(치열 부정, 세균 감염 등)를 말해줍니다.

    아이가 무료하면 무의식적으로 손가락을 빨 수 있으니 다른 쪽으로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유도하는게 필요합니다.

    1명 평가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어린이집에 다니는 아이가 갑자기 손가락을 빠기 시작했다면, 이는 스트레스나 불안,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적응 문제일 수 있습니다. 이 행동은 아이가 감정적으로 안정감을 찾기 위한 방법일 수 있기 때문에 부모는 아이의 감정 상태를 먼저 살펴봐야 합니다. 아이가 손가락을 빨 때마다 "장난감을 만져보자"거나 "책을 읽자"는 식으로 대체 행동을 제시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손가락을 빨지 않은 시간에 대해 칭찬하고 격려함으로써 긍정적인 강화를 시도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안정감을 주는 물건이나 인형을 제공하고, 아이가 불안감을 덜어낼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이 행동이 계속되거나 심화되면 전문가와 상담을 고려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이의 감정을 이해하고 안정적이고 긍정적인 방식으로 이 행동을 개선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어린이집 원장입니다.

    손가락을 빨때 아이의 불안한 마음이나 스트레스가 있는지 확인을 해주세요

    습관성이라면 손에 장난감이나 손가락 인형을 쥐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좋은 습관은 인내력을 가지고 꾸준히 도와주세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아이의 엄지손가락 빠는 습관은 많은 부모들이 경험하는 문제 중 하나입니다. 먼저, 아이가 엄지손가락을 빠는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런 행동은 종종 불안이나 스트레스에서 비롯되며, 어린이집에 가는 것처럼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 아이에게 엄지손가락을 빠는 습관에 대해 직접 이야기할 때는 부드럽고 공감하는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아이에게 대체 행동을 제시하여 엄지손가락을 빠는 습관을 줄여나가는 방법이 있습니다. 아이에게 엄지손가락을 빨지 않도록 유도하려면, 그 행동을 했을 때의 부정적인 결과보다는 긍정적인 보상을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엄지손가락을 빨지 않도록 유도할 때는 부모가 일관된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가끔씩 허용하거나 방치하면 아이가 혼란스러워할 수 있습니다. 아이가 습관적으로 손가락을 빨기 시작하면 가볍게 상기시키는 것이 좋습니다. "이건 손가락을 빨지 않기로 했지? 대신 다른 방법을 해보자"라고 부드럽게 말해 주세요. 아이들이 손가락을 빠는 습관을 완전히 없애는 데는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일관성 있게 접근하면서 아이가 점차적으로 습관을 줄여나가도록 도와주세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아이는 자기 위안의 다른 방법을 찾을 수 있게 됩니다. 아이가 이 습관을 더 이상 지속하지 않도록 지속적인 격려가 필요합니다.

    제가 드린 답변이 참조가 되시었기를 바라도록하겠습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