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한국 대기업이 주가 부양에 소극적인 이유는 뭔가요?

미국의 대기업을 보면 기업에 현금이 많을 때 자사주 소각 등으로 주가 부양에 힘씁니다. 그러나 한국은 이런 경향이 좀 약한 것 같은데 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기업이 주가 부양에 소극적인 주된 이유는 높은 상속세율로 인해 대주주가 주가 상승에 대한 유인이 낮고 오히려 낮은 주가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으며, 미흡한 주주환원 정책과 불투명한 지배구조 등의 코리아 디스카운트 요인 때문입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자사주 매입 후 소각 같은 적극적인 주주가치 제고 행위에 소극적인 모습을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장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대기업은 경영권 방어 목적으로 자사주를 소각하지 않고 보유하는 경향이 있어요. 이는 재벌 중심의 지배구조 특성 때문이며, 자사주가 대주주의 지배력 강화 수단으로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합니다.

    또한, 미국 대비 낮은 주주환원율과 불투명한 배당 관행, 높은 상속세 및 배당소득세 등 세제적 요인도 주가 부양에 소극적인 원인입니다.

    이사회도 소액주주보다 회사 이익을 우선시하는 경향이 강해 코리아 디스카운트가 심화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대기업은 소유, 경영 분리 구조와 재벌 지배구조 문제로 주가 부양에 소극적입니다.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보다 내부 유보를 선호해 보수적으로 재무 운용을 택합니다.

    이는 경영권 방어와 투자 여력 확보 목적이지만 주주환원정책은 상대적으로 약한 편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주주환원 문화가 미국처럼 크게 정착되지 못하였으며 기업 지배구조가 대주주 오너 위주로 되어 경영과 관계가 깊기 때문에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에 소극적입니다. 이익금을 신규 투자를 하거나 사업을 확대하는데 사용을 많이 합니다.

    또한 미국은 이미 사업적으로 안정적이며 세계 최고를 유지하는 기업들이 많아 국내 대기업보다는 상대적으로 투자비중이 적을 수 있어 주주환원을 더 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한국 대기업이 주가 부양에 소극적인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한국 대기업은 소액 주주들에 대한 신경을 거의 쓰지 않고

    오직 대주주 위주의 경영을 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는 기존 자사주를 경영권 방어 등의 목적으로 보유하는 비중이 높아 소각 등 주주환원에 적극적으로 나서기 어려워서인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최근에는 자사주 소각이 증가하는 추세로 보이며, 정부의 자사주 소각 의무화가 추진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 그런 경향이 비교적 약한데, 자사주 매입의 목적과 구조적인 차이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미국은 자사주를 매입하면 주로 소각해서 유통 주식 수를 줄이고 주당 가치를 높여 주가 부양에 힘쓰는 경우가 많지만, 한국 기업들은 자사주를 매입해도 곧바로 소각하지 않고 경영권 방어나 나중에 필요할 때 활용하기 위해 보유하는 데 사용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