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내린후 하늘에 아름다운무지개가 만들어지는원인은?
비내린후 하늘에 아름답게 만들어지는 무지개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걸까요
전문가님의 답변을 기다립니다
신기하기도하고 어떻게만들어지는지도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하늘에 떠있는 빗방울에 의해 생깁니다. 빗방울 반대쪽에 있는 햇빛이 굴절되고 반사되어 동심원으로 보이는 빛의 굴절 현상 입니다. 빛은 공기와 물사이를 지날때 여러가지 색깔로 분광되어 휘어 집니다. 쌍무지개는 빛의 반사가 두번 일어날때 만들어 지는 현상 입니다. 보통 색상의 배열이 1차 무지개와 반대로 나타납니다. 또한 무지개는 공중에서 보면 엄청나 크기의 원형 형태를 이룹니다. 빛이 빗방울을 지날때 원뿔형태를 이루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비내린 후에 하늘에 아름다운 무지개가 만들어지는 원인은 빛의 굴절과 분산입니다. 빛은 빗물과 같은 물체에 부딪히면 굴절되고 분산됩니다. 빛의 색깔은 파장이 다르기 때문에 각각의 색깔이 다르게 굴절됩니다. 이러한 굴절과 분산이 합쳐져서 빛의 색깔 스펙트럼이 하늘 곳곳에서 발생합니다. 이 스펙트럼은 반원 모양을 띠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보는 무지개입니다. 무지개의 색깔은 빨강, 주황, 노랑, 초록, 파랑, 남색, 보라인데, 이 색깔들이 나타나는 순서는 항상 빨강부터 시작하여 보라색으로 끝납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공중에 떠다니는 물분자에 특정각도가 되면 발생합니다.
즉, 물분자에 의해 햇빛이 굴절과 반사가 적절히 일어나면
가시광선이 여러 색깔로 분리되어 하늘에 무지개가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무지개는 빛의 굴절과 반사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공기 중에는 수 많은 물방울이 존재하는데,
여기에 햇빛이 들어오게 되면, 물방울 내부에서 굴절과 반사가 생기고,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하여 분산에 의해 무지개를 만들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내린 뒤 대기중에는 수증기, 물이 가득 분포하여 습한 상태가됩니다.
무지개는 햇빛이 수증기 물방울을 통과하면서 이 물방울이 마치 프리즘 역할을 하여 빛이 분산되어 나타나는것입니다. 이 분산된 빛이 빨간색파장부터 파란색 파장, 보라색 등 여러 색을 띠는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게되며 무지개가 형성되는것이죠.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진솔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내리면 공기가 습해지고 이는 공기 중에 많은 물방울들이 있다는 뜻이죠 이때 이 물방울들에 햇빛이 닿으면
빛줄기가 서로 다른 굴절률로 꺾이면서 무지개 빛깔로 퍼져 보이는 것입니다.
즉 빛의 굴절 현상이죠 색마다 더 빠르게 통과하거나 느리게 통과해 속도 차이가 나게 되고 이로인해 일곱 색깔로
분광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