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기는 공기중에 감염이되나요???
감기가 퍼질때는 공기를 타고퍼지는건가요 아니마퍼지게되는 다른 경로가있는건가요?? 여러가지 경우들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공기를 타고 퍼지기보다는 침을 타고 전파된다고 보시는게 맞겠습니다.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서 손에 비말이 묻게되고 이 손으로 문손잡이를 잡거나 악수를 하게된다면 타인의 손으로 전파되고 전파된 손으로 코나 입을 문지르면 바이러스가 옮겨가는거죠.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감기 바이러스는 주로 비말(기침이나 재채기를 할 때 나오는 작은 물방울)을 통해 전파되며, 이 비말이 공기 중에 잠시 떠다니다가 다른 사람의 호흡기로 들어가거나 주변 표면에 닿게 됩니다. 또한 감기 바이러스는 손잡이, 휴대폰, 키보드 같은 물체 표면에서도 수 시간에서 수일간 생존할 수 있어, 이러한 물체를 만진 후 눈, 코, 입 등을 만지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가까운 거리에서의 직접 접촉(악수, 포옹 등)을 통해서도 전파가 가능하며, 특히 밀폐된 공간에서는 공기 중 바이러스 농도가 높아져 감염 위험이 증가합니다. 예방을 위해서는 손 씻기, 마스크 착용, 사람이 많은 밀폐된 공간 피하기, 충분한 휴식과 수분 섭취가 중요합니다. 면역력이 약해지면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으니 규칙적인 생활습관을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감기는 주로 호흡기 비말을 통해 전염됩니다. 즉, 감기에 걸린 사람이 기침, 재채기, 또는 말을 할 때 공기 중에 미세한 비말(물방울)이 퍼지면서 그 안에 있는 바이러스가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는거죠. 이 비말은 약 1~2미터 내에서 전염이 일어나기 때문에, 가까운 거리에서 대화하거나 기침을 했을 때 감염될 수 있어요
하지만 공기를 통한 전염은 주로 비말을 타고 일어나는 것이기 때문에, 공기 중에서 직접적으로 바이러스가 떠다니며 감염되는 것은 아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감기 바이러스가 물건 표면에 남아 있을 경우 (문 손잡이, 전화기, 키보드 등) 다른 사람이 그 물건을 만지고 나서 손을 입, 눈, 코에 대면 감염될 수 있어요. 즉, 접촉 전염도 중요한 경로죠. 코로나 유행하던 시절 손 소독 하던 이유도 마찬가지구요
결국, 감기는 비말 전염과 접촉 전염 두 가지 방식으로 퍼질 수 있으며, 손 씻기와 마스크 착용, 그리고 사람들이 많은 장소를 피하는 것이 감염 예방에 효과적입니다.
여러 상황에서 감염 경로가 다를 수 있으므로, 감기 예방을 위해서는 위생 관리와 거리 두기가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