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GTA를좋아하는트럭소녀간호사

인간의 진화가 광합성을 선택하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가끔 드는 생각은 식물처럼 물만 먹으면 되고 광합성을 할 수 있다면

따로 음식을 안 먹어도 되니까 얼마나 좋을까

라는 상상을 많이 하게 되는데요.

인간의 진화는 왜 이런 방향으로 진행되지 않았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인간을 포함한 대부분의 동물은 높은 에너지를 필요로 합니다. 특히 인간의 뇌는 매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합니다. 광합성은 동물에게 필요한 에너지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에너지만을 제공하며 이는 인간의 활동적인 생활 방식 보다는 식물처럼 정적인 생물에게 적합한 방법입니다.

  • 식물과 달리 동물들은 움직임을통해 움직이지 못하는 식물들을 섭취하거나 상대적으로 약한 동물들을 섭취하며 에너지를 얻는것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입니다.

    즉, 주변환경변화에대한 위협 없이 움직임을 통해 쉽게 에너지를 얻는 방식을 채택한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인간도 광합성을 굳이 할 이유가 사라진 것입니다.

  • 인간은 광합성을 하는 식물과는 다르게 동물입니다. 동물은 이동을 해 다닐 수가 있기 때문에 한 자리에서 에너지를 생산하는 것보다 움직이면서 에너지를 섭취하는 것을 선택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런 과정에서 광합성을 통해서 스스로 에너지를 만들기보다 에너지를 만들어 식물이나 동물들을 섭취함으로써 에너지를 간접적으로 얻게 되어 에너지의 효율성을 더 높게 만드는 쪽으로 진화하게 되었습니다.

  • 식물의 광합성은 세포내의 엽록체에 의해 일어납니다.

    이 엽록체의 획득은 단세포시절 다른 광합성을 할 수 있는 세균을 세포 안으로 받아들이며(섭식하여) 시작되었습니다. 이를 세포 내 소기관으로 발달시켜 엽록체의 형태가 된 것입니다.

    이 때부터 동물세포와 식물세포가 나누어졌고 각자 다른 방향으로 진화가 이루어 졌습니다.

    광합성의 가능 유무는 아주 오래전에 갈린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동물세포의 경우 엽록체를 획득하지 않고 진화가 계속 되었고,

    다른 생물체나 영양소를 섭식하여 에너지를 획득하며 생존했습니다.

    광합성 없이도 생존과 번식이 가능했으므로 광합성을 하는 방향으로 진화가 진행되지 않았습니다.

  • 여러 이유가 있겠지만 주된 요인 중 하나는 인간의 뇌는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광합성만으로는 충분한 에너지를 얻기 어려울 수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