싱크홀이 생기는 원인은 과연 어떤 문제일까요
싱크홀이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적으로도 문제가 되는데요. 단지 지하수가 빠지면서 빈공간이 내려앉는
현상일까요 아니면 또다른 원인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싱크홀은 지표면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으로, 전 세계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문제입니다. 싱크홀이 생기는 주된 원인은 땅속에 빈 공간이 무너지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빈 공간은 자연적으로 생기기도 하고 사람의 활동 때문에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자연적인 원인으로는 석회암처럼 물에 잘 녹는 암석 지반에서 지하수가 흐르면서 암석을 녹여 동굴 같은 공간을 만드는 '용식 작용'이 대표적입니다. 이렇게 만들어진 공간의 천장이 무너지면서 땅이 꺼지는 것입니다.
한편, 사람의 활동으로 인해 싱크홀이 발생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가장 흔한 것이 농업이나 생활에 필요한 물을 얻기 위해 지하수를 너무 많이 퍼 올리는 것입니다. 지하수위가 낮아지면 지반을 받쳐주던 힘이 약해져서 땅이 내려앉을 수 있습니다. 또한, 오래된 하수도관 같은 지하 시설물이 파손되어 물이 새거나 흙을 유실시키면서 땅속에 빈 공간을 만들기도 합니다. 지하철 공사나 건물 기초 공사처럼 지하를 파는 작업 중에도 지반이 약해지거나 예상치 못한 침하가 발생하면서 싱크홀이 생길 위험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싱크홀 원인은 주로 자연적 원인과 인위적 원인이 존재합니다.
자연적 원인으로는 석회암 성분인 탄산칼슘이 빗물이나 지하수에 녹으면서 빈공간이 생기게 되며
이에 따라 도로 표면 상부가 무너지게 됩니다.
또한 지하수가 지나가는 통로가 커질 때 도 싱크홀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인위적인 원인으로는 지하수를 많이 끌어다 쓰거나 지하철 공사 및 대형 건물 공사로 인해서 지반이 약해 지는 경우입니다. 또한 땅속 깊이 매설했던 매설관이 노후화로 인해 물이 새면서 빈 공간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싱크홀은 지하에 빈 공간이 생기면서 지반이 갑자기 꺼지는 현상입니다.
주된 원인은 지하수의 유출로 지반이 약해지는 경우입니다. 석회암 지대에서는 물에 의해 암석이 녹아 지하 공간이
생기기도 합니다. 그러나 도시 지역에서는 지하 공사, 노후된 상하수도관 등의 인위적 원인이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