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오토k
오토k

왜 바다랑 민물은 어떻게 생기고 나눠졌나요???

왜 바다랑 민물은 어떻게 생기고 나눠졌을까요???

바다는 언제 염분이생기고 민물은 왜 안생겼을까요???

염분이 생물한테 안좋지않나요? 근데 염분이 바다생물들에게 끼치는 영향은 뭔가요?

태초생물은 물에서 왔다는데 그때도 염분이 있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질문이 여러가지여서 나워서 간단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지구 초기에는 화산 활동이 활발하여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았으며 지구가 식으면서 수증기가 응결되어 비가 내렸고, 이 비가 낮은 곳에 모여 원시 바다를 형성했습니다.

    비가 내리며 강과 호수를 형성하였고, 이 물은 바다로 흘러가지 않고 육지에 고여 민물이 되었습니다. 민물은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이 땅속을 흐르거나, 땅 위에 고여서 만들어지며, 바다와 달리 염분이 거의 없습니다.

    이렇게 바다와 강, 호수 등이 분리된 이유는 지형적 이유입니다. 그리고 강은 육지에서 바다로 물을 운반하는 역할을 하지만, 일부 물은 육지에 남아 호수나 늪 등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바다에 염분이 있는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주장이 있습니다.

    빗물이 오랜 시간동안 땅의 암석을 풍화시키면서 염분을 포함한 다양한 염류를 녹여내고, 이 염류는 강을 통해 바다로 운반되어 바다에 염분이 축적된 것이라는 주장이 있습니다.

    또한 해저 화산활동으로 인해 바닷속에 염분과 여러 광물질이 녹아든 것이라는 주장도 있죠.

    그에 비해 민물은 빗물이나 눈이 녹은 물이 땅속을 흘러 빠르게 바다로 빠져나가거나, 땅 위에 고여서 만들어지기 때문에 염분이 바다에 비해 현저히 적은 것이죠.

    바다의 염분은 생물에게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이기도 합니다.

    사람도 소금이 없이 살 수 없듯 생물의 생존에 필수적인 미네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염분은 생물의 삼투압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염분 농도의 변화는 생존을 어렵게 만들기도 합니다.

  • 바다와 민물은 지구 형성 초기에 지각 활동과 물 순환 과정에서 나뉘게 되었고, 바다는 빗물과 강물에 의해 육지의 염류가 지속적으로 흘러들어가면서 염분이 축적되어 짠물이 되었습니다. 반면 민물은 강이나 호수처럼 육지 내부에 머물며 염분이 바다로 흘러가 제거되기 때문에 짜지 않습니다. 염분은 일반 육상 생물에게는 해롭지만 바다생물은 삼투압 조절을 통해 적응해 살아가며, 이 염분은 오히려 그들의 생리적 균형 유지에 필수적입니다. 태초의 생명은 초기 바닷물에 가까운 환경에서 시작됐고, 당시에도 어느 정도 염분이 있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전문가입니다.

    민물은 바다에서 증발된 물이 육지에서 비나 눈으로 내린것이기 때문에 염분이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증발이 될때 염분은 같이 증발이 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이후 이 수분은 구름의 형태로 육지로 옮겨서 내리게 됩니다.

    바다와 민물은 육지가 생겼을때부터 나눠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