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세금·세무

종합소득세

검소한흰죽지35
검소한흰죽지35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의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이번에 사업자등록을 하려고 하는데 등록하는 기준이 있더라고요. 사무실이나 매장을 얻어서 하지 않고 집으로 사업장을 등록해서 규모 작게 하고 유튜브도 할 계획입니다.이럴 경우 간이과세와 일반과세 등록하는 기준이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영우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연간 매출이 8천만원에 미달할 경우 간이과세자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신규사업자는 매출 규모와 상관없이 간이과세자 신청이 가능합니다.

      창업 비용이 크게 발생하지 않은 경우 간이과세자로 등록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다만, 초기에 광고 수익보다 방송장비 매입비용이 더 클 수 있으니 일반과세자로 사업자등록하는 것도 고려해볼만 합니다.(간이과세자는 매입>매출인 경우에도 환급세액이 없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이정실 회계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의 구분
      • 개인사업자는 공급대가에 따라 간이과세자와 일반과세자로 구분되므로 자기에게 맞는 올바른 과세유형을 선택하여야 함

        • 간이과세자 : 연간 공급대가 예상액이 4,800만원 미만인 개인사업자
          다만, 아래 사업자는 연간 공급대가 예상액이 4,800만원 미만이라도 간이과세를 적용받을 수 없음

          • 광업, 제조업 (과자점, 떡방앗간, 양복·양장·양화점은 가능)

          • 도매업 (소매업 겸업시 도·소매업 전체), 부동산매매업

          • 시 이상 지역의 과세유흥장소

          • 전문직사업자 (변호사, 신판변론인, 변리사, 법무사, 공인회계사, 세무사, 경영지도사, 기술지도자, 감정평가사, 손해사정인업, 통관업, 기술사, 건축사, 도선사, 측량사업, 공인노무사업, 약사업, 한약사업, 수의사업 등)

          • 국세청장이 정한 간이과세 배제기준에 해당되는 사업자

          • 현재 일반과세자로 사업을 하고 있는 자가 새로이 사업자등록을 낸 경우 (다만, 개인택시, 용달, 이·미용업은 간이과세 적용 가능)

          • 일반과세자로부터 포괄양수 받은 사업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문용현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소규모사업자라면 간이과세자로 시작하는 것이 낫습니다. 사업자등록을 신청할 경우, 일반/간이 선택이 가능합니다. 그 이후에는 직전연도 공급대가(vat포함금액)가 8,000만원미만인 사업자는 간이과세자로 자동 전환됩니다.

      간이과세자는 일반과세자에 비해 부가가치세 부담이 훨씬 낮고, 연간 공급대가(vat포함금액)가 4,800만원 미만이라면 부가가치세가 완전 면제됩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세무·회계 분야 전문가 전영혁세무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부가세법 개정으로 간이과세자 기준은 4800만원 미만에서 8000만원(직전 연도의 공급대가 합계액) 미만으로 높아졌습니다. 다만 부동산임대업 및 과세유흥장소를 경영하는 사업자에 대해서는 현행의 4800만원 미만 기준이 유지됩니다. 부가세 면세 대상은 종전 연매출 3000만원 미만에서 4800만원(해당 과세기간의 공급대가 합계액) 미만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처음 사업자등록 시 기본적으로 간이과세자로 등록되시며 일반과세자로 선택도 가능하십니다. 다만 선택 시 3년 간은 간이과세자로 돌아가실 수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