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솔직한참새218
솔직한참새21820.08.18

연립 , 다세대 주택 거래량이 느는이유?

최근 뉴스에서 아파트 가격의 고공행진으로 연립,다세대 주택 거래량이 급증했다고 하는데요. 원인은 실소유목적과 투자 목적이 혼합되서 그렇다고 하는데 빌라같은 곳은 나중에 매도시 가격방어가 잘 안되고 매매도 힘들어서 선호되는 물건은 아니라고 아는데 어떤점을 노리고 투자를 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다세대 연립주택 거래량 12년 만에 최대 기록... 투자가 몰리는 이유는?

    ​아파트 매매가와 전셋값 상승세가 계속되면서 실수요와 함께 투자수요까지 몰려 서울의 다세대 연립 주택 거래량이 12년 만에 최대 기록.

    아파트에 대한 규제가 계속되면서 눈을 돌리는 실수요자들이 있는 데다,

    다세대/연립도 가격이 뛸까봐 염려하는 풍선효과도 영 향을 미쳤다.

    ​이는 아파트와 달리 전세자금 대출 규제가 적용되지 않아 전세를 끼고 집을 사는 갭투자가 여전히 가능하고,

    등록 임대 세재 혜택도 유지되기 때문이다.​

    하지만 투자 목적의 매매는 신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데,

    내년부터는 다 주택자에 대한 양도 소득세 중과나 종부세에 대한 과세 부담이 커져 투기적인 과수요나 단기 시세차익 수요가 시장에서

    버티기는 쉽지 않다고 보이기 때문입니다. "끝"


  • 안녕하세요 규제이기는 장사는 없습니다.

    특히 세금규제는 말이죠

    현 정부는 부동산안정화를 위해 무절제에 가까운 수준에 규제 정책을 퍼붓고 있습니다.

    주로 세금을 건드리고 있죠 따라서 조세저항도 점점 커져가는 형국이고요

    그 규제에 몰리고 몰리다보니 이젠 연립 다세대주택까지 그 풍선의 온기가 가고 있는 실정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순전히 규제에 몰려서 거기까지 온기가 간겁니다.

    때문에 집값올라가는동안 아무것도 못한 대다수의 무주택 세입자들은 죽을맛이겠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