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환경·에너지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완전히맛있는식빵이좋아

우박은 왜 겨울에 내리지 않고 다른 계절에 내리나요?

우박을 맞아 보면 큰것은 좀 아프던데 자세하게 보면 얼음덩어리라서 겨울에 내릴것 같은데

겨울에는 내리지 않고 다른계절에 내리더라구요. 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우박은 하늘에서 떨어지는 단단한 얼음 덩어리입니다. 얼음이기 때문에 추운 겨울에 내릴 것 같지만, 실제로는 봄이나 여름철에 더 자주 관측됩니다. 그 이유는 우박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있습니다.

    우박은 '적란운'이라는 매우 크고 높게 발달하는 구름 안에서 형성됩니다. 이 적란운은 지표면의 공기가 강하게 데워져서 빠른 속도로 상승할 때 만들어집니다. 이렇게 뜨거워진 공기가 위로 올라가면서 구름 속의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들을 함께 끌어 올립니다.

    구름 속의 물방울이 상층의 매우 차가운 곳으로 올라가면 얼게 되는데, 강한 상승 기류 덕분에 다시 아래로 떨어지지 않고 계속 위로 올라갑니다. 그러다가 다시 아래로 내려오면서 녹았다가, 또다시 강한 상승 기류를 만나 위로 올라가면서 얼음 결정 주위에 얼음층이 계속 덧붙여지며 크기가 점점 커집니다. 마치 양파처럼 여러 겹의 얼음층이 생기면서 단단한 얼음 덩어리, 즉 우박이 되는 것입니다. 이 얼음 덩어리가 너무 무거워져서 더 이상 상승 기류가 떠받칠 수 없게 되면 땅으로 떨어지는데, 이것이 바로 우리가 보는 우박입니다.

    이 과정에서 핵심은 '강한 상승 기류'의 존재입니다. 강한 상승 기류는 지표면이 햇볕에 의해 충분히 가열될 때 잘 발생합니다. 봄이나 여름에는 햇볕이 강해 지표면의 온도가 크게 상승하고, 이로 인해 대류 현상이 활발해지면서 적란운이 발달하고 강한 상승 기류가 형성되기 쉽습니다. 반면에 겨울철에는 지표면 가열이 약하고 대기 중 수증기도 적기 때문에 적란운이 크게 발달하고 우박이 만들어질 만한 강한 상승 기류가 잘 생기지 않습니다. 물론 겨울에도 아주 드물게 조건이 맞으면 우박이 내리기도 하지만, 일반적으로는 강한 대류 활동이 활발한 봄이나 여름에 더 흔하게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그래서 우박은 얼음이지만 오히려 따뜻한 계절에 더 자주 만날 수 있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대기 중의 강한 상승 기류에서 형성됩니다. 이런 상승 기류가 더 활발한 계절은 겨울이 아닌 봄과 여름입니다.

    이때 기온이 높고 대기 중의 수분이 많아서 구름 내에서 강한 상승 기류가 생기기 쉽습니다.

    강한 상승 기류가 구름 속의 물방울을 높은 곳으로 끌어올리면 그 물방울이 차가운 층에 도달해 얼음으로 변합니다.

    이 얼음 입자는 바람에 의해 구름 속에서 여러 번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며 점점 커지게 됩니다.

    어느 순간 이 얼음 덩어리가 너무 커져서 더 이상 상승 기류에 의해 떠 있을 수 없을 때 떨어지게 되는데 이게 우리가 알고있는 우박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겨울에도 내릴 수 있지만 실제로 봄과 여름에 더 자주 발생합니다.

    우박 형성에 필요한 조건들이 봄과 여름에 맞기 때문입니다.

    우박은 대류성 구름에서 형성됩니다. 이는 봄과 여름에 지표면이 더 많은 열로 강한 상승 기류를 발생합니다.

    이로 인해 지상의 따뜻한 공기와 상층의 차가운 기온으로 우박이 형성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