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4.11

사과를 깎아 놓으면 갈변하는 이유는 무엇때문인가요?

사과껍질을 깎아 놓으면 오래지 않아 과육이 갈색으로 변하는데 어떤 성분이 어떤 이유로 변화하여 갈색이 되는건가요? 갈변한 사과에는 성분 변화도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의 껍질을 벗길 경우 사과가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산소와 사과의 과일 쥬스가 상호작용하여 산화되기 때문입니다. 사과의 껍질은 사과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껍질에는 높은 농도의 폴리페놀화합물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폴리페놀화합물은 사과를 공기와 접촉시키는 것을 방지하여 사과의 산화를 방지합니다.


    그러나 껍질을 벗기면 사과의 쥬스가 공기와 더 직접적으로 접촉하게 되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가 일어납니다. 이 산화 반응에 의해 사과의 쥬스가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데, 이것이 일반적으로 사과의 껍질을 벗기면 사과가 갈색으로 변하는 이유입니다. 이러한 현상은 사과뿐만 아니라 다양한 과일에서 관찰될 수 있는 현상으로, 신선한 상태의 사과가 껍질을 벗기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자연적인 과정입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를 깎아 놓으면 갈변하는 이유는 산화에 의한 것입니다. 사과에는 산화효소가 들어 있어서 공기와 접촉하면 산화되고, 이 산화과정에서 사과에 있는 포도당이 산화되어 산화된 포도당이 쌓이면서 갈색으로 변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의주 과학전문가입니다.


    갈변은 사과 내부에 있던 효소가 공기와 만나 갈변하게 됩니다. 갈변을 막는 망법으로는 공기와 접촉을 최소화 하여 밀봉해주시면됩니다.

    설탕물이나 소금물 등도 도움이 됩니다.

    갈변된 사과는 칼로 잘라버리고 드시는게 좋습니다.

    이유는 공기가 효소와 만나 과일 속에 있는 페놀화합물을 산화시키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의 갈변은 사과 내부의 폴리페놀이 산소와 만나 산화되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렇게 산화되면서 기존보다 맛과 향이 덜해지게되므로 사과는 깎는 즉시 먹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사과의 경우 껍질이 벗겨진 상태로 공기와 마주치게 되면은 사과 안의 효소가 공기와 만나 갈변현상을 일으키게 됩니다. 영양상에는 크게 파괴되지는 않지만, 미관상에 좋지않은 영향을 줍니다. 그로 인해서 사과의 껍질을 벗기게 되면은 설탕물에 담구거나 하는 방법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더욱이 사과말고도 배나 바나나도 같은 갈변 현상을 일으키는 과일 중에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