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에스프레소한사발원샷이기본

고생대와 중생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무엇이고 그 사이에 있었다는 대멸종의 원인은 무엇인가요?

고생대가 끝나고 중생대가 시작되는 시점인 약 2억5천만년전에 당시 생물종의 90%가 멸종했다고 하는데 그 원인은 무엇이 있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지질시대의 구분은 화석과 대멸종 증거 그리고 지층의 부정합 등을 조사하여 구분하며, 해당 시기는 방사성 동위원소를 이용하여 연대측정합니다.

    고생대의 끝은 페름기인데 말씀하신대로 약 2억 5천만년전이며

    대멸종의 원인은 판게아의 형성 때문이라고 봅니다.

    대륙판은 맨틀의 이동으로 조금씩 움직이는데,

    판게아는 거대한 대륙으로, 지구에 있는 대륙의 지각 전체가 붙어있는 형태였습니다.

    이런 거대한 한 덩어리의 지각은 해수의 흐름을 막고, 대륙에도 거대한 사막이 생기게 되었습니다.

    이런 영향으로 인해 해양생물의 96%, 육지생물의 70%가 멸종했습니다.

  • 고생대와 중생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지질 시대의 변화와 생물의 급격한 변화, 즉 화석의 변화에 기반을 두고 있습니다.

    고생대는 약 5억 4100만년 전부터 2억 5200만년 전까지로, 초기부터 캄브리아기, 오르도비스기, 실루리아기, 데본기, 석탄기, 페름기의 6기로 나뉩니다. 그리고 중생대는 약 2억 5200만년 전부터 6600만년 전까지로, 트라이아스기, 쥐라기, 백악기로 나뉩니다.

    고생대와 중생대 사이에 발생한 대멸종은 페름기-트라이아스기 대멸종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지구 역사상 가장 많은 생물이 사라진 대멸종 사건입니다. 이 대멸종의 원인은 다양한 가설이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환경 변화는 지구상의 90% 이상의 종들을 멸종시킨 것으로 추정됩니다.

  • 삼엽충같은 무척추 동물의 흔적이 등장한 약 5억 4000만 년 전부터를 고생대(Paleozoic Era), 파충류가 번성했던 약 2억 5200만 년 전부터를 중생대(Mesozoic Era)로 구분합니다. 고생대가 끝나고 중생대가 시작하는 시점에서 사상 최대 규모의 생명체 대멸종이 발생했는데요, 멕시코 유카탄반도에 떨어진 칙술루브 소행성 충돌로 인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습니다.

  • 고생대는 미생물들이 존재하던 선캄브리아시대가 끝나고 눈에 보이는 크기의 다양한 생명체가 처음으로 등장하였으며 척추동물, 곤충, 식물들의 조상들이 등장하였습니다.

    이후 중생대가 시작된 후 파충류와 공룡이 등장하였고 현재 지구의 대륙모양과 유사한 형태로 변화하였습니다.

    중생대말 대규모화산폭발과 소행성 충돌로 인해 대멸종이 일어났으며 그 다음 신생대로 이어졌습니다.

  • 고생대와 중생대를 구분하는 주요 기준은 지질학적 변화인 페르미안-트라이아스기 대멸종 사건입니다. 이 대멸종 사건은 약 2억5천만년 전에 발생했으며, 당시 지구상의 생물종의 약 90%가 멸종했습니다. 이 대멸종의 원인으로는 화산 폭발, 기후 변화, 해수 산소 부족, 운석 충돌 등 여러 가설이 제기되고 있지만, 가장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이는 것은 화산 활동으로 인한 대규모 황산가스 방출이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고생대와 중생대를 구분하는 기준은 대멸종 사건입니다. 페름기-트라이아스기 경계(약 2억 5200만 년 전)에 발생한 대멸종으로 인해 해양 생물의 95%, 육상 생물의 70%가 멸종했습니다. 이 멸종 사건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 명확히 규명되지 않았지만, 화산 활동, 급격한 기후 변화, 해수면 변동, 무산소 상태 등 복합적인 원인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특히 시베리아 지역의 거대한 화산 활동으로 인한 온실가스 배출이 지구 온난화를 초래해 생태계 교란을 가져왔다는 설이 유력합니다. 이 대멸종으로 삼엽충, 방향족 등 많은 생물종이 사라졌고, 이후 새로운 생물종이 번성하며 중생대가 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