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한 바람 맞으면 호흡 곤란오는 이유가 뭘까요
저번에 자동차 뒷자리에서 창문 열고 시원하게 바람을 맞고 있었는데
얼굴에 강한 바람을 맞고 있으니 숨쉬는 것이 힘들어 지는데
그런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강한 바람이 불면 공기가 빠르게 흐르면서 호흡이 어려워지는데요. 이는 공기가 빠르게 흐르면서 폐에서 산소를 흡입하는 시간이 짧아지기 때문입니다. 이 때문에 호흡이 어려워지고 숨이 차게 느껴지는 것입니다.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공기 중의 먼지나 기타 물질들이 일시적으로 공기 중에 떠다니게 됩니다. 이러한 물질들이 공기 중에 있으면 호흡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강한 바람이 부는 경우 공기가 빠르게 움직이기 때문에 눈, 코, 입 등 입체적인 부위에 직접적인 압력을 주어 호흡에 어려움을 느끼게 합니다. 이러한 이유로 강한 바람을 맞으면 호흡이 어려워지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숨을 쉬면서 공기를 흡입하고 다시 또 내 뱉는 것은 결국
압력차이를 이용한 공기의 이동입니다.
그런데, 만일 외부가 강한 바람(=고압) 상태라면,
우리 폐에 들어간 공기를 다시 내 뱉기 어렵게 됩니다.
적어도 그 강한 바람보다 더 크 고압상태로 폐를 만들어야하기 때문입니다.
참고로 폐 근처에 뼈와 근육으로 둘러 쌓여있어 힘을줘서 폐를 눌러서 고압상태로 만듭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얼굴에 부는 맞바람은 얼굴 주변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며 공기가 빠르게 얼굴을 지나가게 됩니다.
이 때문에 호흡하는 데 필요한 공기의 양이 감소합니다. 이는 숨을 쉴 때 공기가 부족하다는 느낌을 주며, 숨이 가파오는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또한 강한 바람은 공기중에 호흡에 곤란을 주는 각종 비산먼지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아서 호흡을 방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강한 바람이 얼굴에 부딪히면 공기의 압력이 증가하여 숨쉬는 것이 힘들어집니다. 이는 바람이 머리카락이나 얼굴 주변의 피부에 직접 부딪히면서 발생합니다. 바람이 쏘였을 때 피부 주변 공간의 압력이 높아지면, 흉부 안쪽 공간과 비교하여 압력 차이가 생기게 됩니다. 이 압력 차이가 크면 기침이나 숨쉬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은 바람이 강한 날씨에 특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강한바람에서 숨을 쉬기 힘든이유는 바람에 의해 공기가 콧구멍속으로 들어오지 못해 그렇습니다 우리가 숨을 쉬려면 코나 입으로 공기를 들여마셔야 하는데 강한바람때문에 공기가 콧속으로 못들와 숨을 쉬기 힘든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