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주식·가상화폐경제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2.12

자산 운용사들이 자회사로 자산 운용사를 두는 이유가 뭔가요?

일반적으로 기업들은 다른 분야나 유사 분야의 기업을 자회사로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펀드를 운용하는 자산 운용사들이 똑같은 자산 운용사를 자회사로 두는 경우가 있던데 왜 그런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 운용사가 펀드 전략에 따라 액티브, 패시브, 대체투자 등 각 분야 상품을 전문적으로 다루는 자회사를 세울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선진국의 경우에는 금융그룹 내 복수 운용사 설립을 허용해 M&A·분사 등이 활발히 이뤄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운용사들이 자회사로 별도의 자산운용사를 두는 이유는 소규모의 펀드 운용이나 혹은 특별목적의 펀드를 운용하기 위해서 두는 경우가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운용사는 투자자문 관련 모든 업무를 다 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펀드를 설정하여 운용할수 있습니다. 그러나 투자자문사는 자산운용사와 같이 펀드를 설정하여 운용할수 없습니다. 단지 투자자문과 특정 고객의 돈을 받아서 운용해주는 일임운용말고는 다른 업무를 영위할수가 없습니다. 그러므로 투자자문에 특화되어 있는 회사이지요. 자산운용사도 그일 역시 할수 있습니다만, 대부분의 역량이 펀드운용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랩운용같은 것은 거의 취급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랩어카운트는 공식적으로는 판매한 증권사가 운용하는 것이고 투자자문사는 그 투자에 자문을 해주는 형태입니다. 그러나 사실상 투자자문사가 운용을 하고 있고 증권사는 거저먹고 있지요. 그리고 증권사는 투자자문사에 자문수수료를 지급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대로 자산운용사들이 운영하는 금액이 커지다보면

    이를 더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하여 자회사로 두는 등 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 운용사들이 자회사를 두는 이유는 다양합니다. 주요한 이유 중 하나는 자산 운용사가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 투자하기 위해서입니다. 자회사를 통해 다양한 자산 클래스에 투자하고, 이를 통해 포트폴리오를 분산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자회사를 통해 특정 자산 클래스나 지역에 특화된 전문성을 갖춘 투자 전략을 구현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 운용사들이 자회사로 자산 운용사를 두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1. 투자 범위 확대: 일부 자산 운용사들은 투자 범위를 확대하기 위해 자회사를 설립합니다. 예를 들어, 벤처투자 영역으로 보폭을 넓히고 싶을 때, 자회사를 통해 벤처캐피탈을 설립하거나 창업투자회사 라이선스를 직접 확보하고 나설 수 있습니다.

    2. 운용 전략의 자율성 확보: '액티브 펀드'는 펀드 매니저들이 적극적으로 운용 전략을 펴는 투자 방식이고, '패시브 펀드'는 지수에 편입된 종목을 기계적으로 사고파는 투자 방식입니다. 계열사로 분리하면 액티브 펀드 운용의 자율성을 확보하는 것은 물론, 승진이나 성과급 체계 또한 펀드 매니저의 역량에 따라 적극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3. 펀드 운용의 우회로 찾기: 라임펀드와 옵티머스펀드 사태 이후 은행에서 사모펀드 수탁을 거절하면서 다른 형태의 펀드 운용이 필요해졌습니다. 이런 경우, 벤처투자조합을 투자기구로 활용하기 위한 목적이 크다는 시선이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자산 운용사들이 자회사로 자산 운용사를 두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각 자산 운용사의 특정 상황과 전략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