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청춘만화
청춘만화

무역 수출 전략은 어떻게 짜야 지금 미국 관세를 피할 수 있을까?

8월부터 미국이 한국산 전 품목에 25% 관세를 매긴다는데, 무역 실무에서는 자동차나 반도체 같은 주력 품목 중심으로 전략을 어떻게 조정해야 할지 고민이 되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수출 전략을 바꿔야 할 때가 온 것 같습니다. 특히 미국 시장 의존도가 높은 산업일수록 충격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자동차나 반도체처럼 단가가 큰 품목은 관세 25퍼센트만 올라가도 마진 구조가 완전히 무너집니다. 이럴 때는 단순히 가격을 낮추는 방식보다 우회 수출 구조를 고려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예컨대 제3국 생산기지 활용이나 FTA 적용국으로 부품 이동 후 재가공 방식 같은 겁니다.

    또 하나는 미국 바이어들과의 장기계약 조항을 다시 살펴봐야 합니다. 관세 전가 조항이 있는지, 재협상 여지는 있는지에 따라 대응 방식이 달라집니다.

    지금까지 겪은 바로는, 이런 정책 변화에는 단기 대응보다 내부 공급망부터 다시 짜는 게 더 오래 갑니다. 무조건 수출량을 늘리는 전략은 이제 통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이에 대하여는 현재로서는 답이 없는 상태입니다. 다만, 관세부과를 최대한으로 피하기 위하여 일단 일반물품들의 경우에는 최대한 선적하여 10% 관세를 적용받는 것이 좋습니다. 아울러, 자동차의 경우 현재 최대한 통관을 늦추어 15%의 관세로 통관을 하도록 하는 것이 좋을 듯 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남형우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8월부터 한국산 전 품목에 25% 관세를 부과하면 주력 산업은 직접적인 가격 경쟁력 타격이 예상됩니다. 무역 실무에서는 우선 기존 공급망과 미국 내 재고 물량을 다시 점검하고, 대체 시장 확대나 미국 현지 생산조립 비중을 높이는 방안도 병행할 필요가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