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돈은 초등학교 입학하면 주는게 맞을까요?
아이가 같은반 친구들은 학교 정문 앞 문구점이나 편의점에서 맛있는거 사먹고 집에가는데 그게 부러웠나 봅니다. 1학년이지만 아직 용돈은 주지않고 필요할때만 조금씩 돈을 주고있는데요. 용돈은 초등학교때부터 주는게 적절한요?
아이의 경제교육을 위해서라도 주기적으로 용돈을 주는 것이 필요합니다.
그래야 아이가 자신의 용돈을 적절하게 관리하는 법을 배우기 때문입니다.
경제관념을 심어주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돈이 무엇인지를 알려줄 필요가 있겠습니다.
https://tv.naver.com/v/25514775
아이에게 캐릭터 용돈기입장을 선물해준다면 아이가 스스로 기록해보면서 용돈이 흐름을 파악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또 아이에게 용돈이 생겼을 때 아이 손을 잡고은행에 가서 아이 이름으로 된 통장을 만들어 줍니다.
용돈이 생길 때마다/ 아이가 저축을 하고자 할 때마다 번거롭지만 은행에 주기적으로 방문해서 저축하는 것을 도와준다면
아이의 저축하는 습관이 자리잡을 수 있을 것입니다.
다양한 보드게임을 통해서도 가능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정순 보육교사입니다.
초등학생 용돈 지급 여부는 부모님의 판단에 따라 결정됩니다. 그러나 대부분의 부모님들은 자녀가 경제 개념을 이해하고 자립심을 키우기 위해 용돈을 주기 시작합니다.
일반적으로 초등학생 용돈은 다음과 같은 기준을 참고하여 결정합니다.
일주일 단위로 적게는 2천원에서 많게는 1만원까지 다양합니다. 개인의 생활 환경 및 소비 성향에 따라 금액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매주 정해진 날짜에 현금 또는 체크카드로 지급하는 방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간식 구매나 학용품 구입 등 제한된 범위 내에서만 사용하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용돈기입장을 작성하여 지출 내역을 기록하고 관리하는 습관을 기르는 것이 중요합니다.자녀와의 협의를 통해 용돈 규칙을 정하고 꾸준히 실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용돈을 주면서도 자녀가 올바른 소비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지도해 주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되었기를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선민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용돈은 초등학교 입학하고 나서 주는게 맞는거 같습니다~그리고 용돈을 계획성있게 쓰드록 1주일 단위로 끊어서 주는걸 추천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지웅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용돈을 주는 시기는 정확히 언제라고 정해져 있지는 않습니다. 부모의 가치관이나 아이의 평소 생활 태도 등을 고려해서 그 시기를 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소액으로 용돈을 줘보고 돈을 관리하는 방법을 스스로 할 수 있도록 해보세요. 용돈을 관리하는 것부터 시작하면 자연스럽게 경제 공부를 할 수 있는 첫걸음이 될 수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현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용돈은 부모님이 생각하시는 시기에 주는게 맞습니다 대개 초등학교 입학하면 주는데 1주일 단위로 끊어서 주며 초1은 대개 1주일 5천원이면 충분할듯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꼭 입학하면 용돈을 주어야 하는 건 아니며 아직은 주기적으로 주진 않아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중학년 시기부터 규칙적으로 용돈을 주고 관리하게 해도 충분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안녕하세요. 박하늘 초등학교 교사입니다.
아이가 돈을 현명하게 사용한다는 것에 대한 개념이 명확하게 서 있지 않기 때문에 처음 용돈을 주실 때, 최대한 자세히 설명해주시고 이해시켜주셔야 합니다. 그리고 단순한 설명이 아니라 함께 손잡고 가셔서 아이들이 돈을 쓰는 모습을 지켜보시며 소비를 하는 상황에 있어 보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 상황 속에서 부모님들께서 아이에게 알려주셔야 할 부분은 확실하게 알려 주시는 게 맞습니다. 보통의 부모님들은 요새 반반입니다. 학교에 갈 때는 현금을 절대 주지 않는 부모님 그리고 아이들 전용 체크카드를 발급받아서 아이에게 체크카드를 사용하는 방법을 알려주는 부모님 이렇게 두 부류로 나뉘는데요.
학교에서 지도할 때 선생님들은 되도록이면 학교에 현금을 가지고 오지 말고 어쩔 수 없어서 정필요하다면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적은 금액의 돈만 가지고 오라고 이야기를 합니다. 무엇이 정답인지는 명확히 결론은 내릴 수 없습니다. 다만 보통 일학년 정도 되면 집에 간식도 다 있고 하기 때문에 일주일에 5000원 정도를 주시는 모습이 일반적이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