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밤잠많은모기2
밤잠많은모기2

갑자기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시선이 많아진 이유가 뭘까요?

기존에는 경기침체와는 달리 AI로 인한 경기회복, 금리인하로 인한 경기회복을 예상했던 사람들이 많았는데 갑자기 7월말부터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시선이 많아졌더군요.

갑자기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시선이 많아진 이유가 뭘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먼저 미국 노동부가 발표한 7월 고용 지표는 시장 예상치를 크게 밑돌았고, 실업률은 예상치보다 높았으며, 공급관리자협회에서 발표한 제조업 구매관리자지수(PMI)는 46.8이 나왔는데 50.0보다 낮게 나와서 경기 위축을 시사했습니다. 이와 더불어 연방준비제도의 기준금리 인하가 늦어질 것이라는 불안감에 투자 심리가 위축된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복합적이긴 하지만,

    1. 트럼프 후보 당선시 미국 자국산업 보호 정책의 영향으로 인한 세계 경제 위축 가능성

    2. 해리스 후보 당선시엔 친환경&민생 테마로 인한 산업전반 규제 강화 우려

    3. 전세계적인 부동산 거품 폭발 우려

    등을 들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장수한 경제전문가입니다.

    실제로 고용지표 및 생산성 지수가 악화되고 있으며, 기업들의 실적이 생각보다 안나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금리 인하가 너무 늦은 거 아니냐는 우려의 시각이 있습니다.

    아마 9월 fomc 때 금리 인하는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샴의 법칙을 필두로 미국의 경기 전망이 하락하고 있다는 시그널은 많았습니다

    • 기존에는 이러한 시그널을 금리인하 신호로 보고 오히려 시장은 환호했었습니다

    • 하지만 이제 금리 인하가 거의 확정된 상황에서 경기 침체를 가르키는 신호는 악재로 인식이 되어

      경제침체를 우려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소프트랜딩을 기대했던 투자자들 입장에서는 하드랜딩의 시나리오로 가는 것을

      우려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만봐도 수출만 좋은 흐름이지 내수소비는 올해내내 좋지 않았고 2분기 GDP에서도 소비 흐름은 더 둔화되는 움직임을 보였습니다. 즉 GDP의 소비 투자 정부지출 순수출에서 수출만 기여하고 있는 상황이며 최근 자산시장에서도 서울중심으로 오르는 부동산 가격에 가계대출도 다시 급증하면서 이로 인한 우려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거기다 미국에서도 내수소비가 본격적으로 둔화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고 실제로 2분기 실적에서 주요 미국의 내수소비기업들이 내수소비가 매우 좋지 않은 실적을 보이고 있어 이런 둔화움직임이 실제 나타나고 있다는게 문제입니다. 이렇게 되면 한국의 수출에 대한 우려가 있으며 실제로 그동안 수출을 이끌었던 자동차업종도 2분기에서 다소 둔화되는 흐름을 보이면서 서서히 걱정과 우려가하는 시선이 많아진것으로 판단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증가한 이유는 여러 가지 경제적 신호와 불확실성 때문입니다. 먼저, 소비자 지출과 기업 투자가 감소하고 있어 경제 성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또한, 고용 증가세가 둔화되고 있으며 경기침체의 징후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중앙은행의 금리 정책과 인플레이션 우려가 지속되면서 경제 전반에 대한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경기침체를 우려하는 시선이 많아진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경제 지표의 부진: GDP 성장률 둔화, 실업률 상승, 소비 지출 감소 등 경제 지표가 악화되면 경기침체에 대한 우려가 커집니다.

    금리 인상: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상하면 대출이 줄어들고 소비와 투자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는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국제 정세 불안정: 지정학적 긴장, 무역 전쟁, 글로벌 공급망 문제 등 국제적인 요인도 경기침체 우려를 증대시킬 수 있습니다.

    재정 정책의 변화: 정부의 재정 정책이 변화하거나 재정적자 증가가 우려될 경우, 경제의 안정성이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기업 실적 부진: 주요 기업의 실적 부진이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갑자기 경기 침체를 우려하는 시선에 대한 내용입니다.

    어제 뉴욕 증시가 경기 침체에 대한 우려로 인해서 폭락하였고

    오늘 코스피 역시 많이 빠지고 있습니다.

    이는 미국의 ISM 지수가 상대적으로 많이 낮았기 때문에 발생한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