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떻게 하면 초등학생과 의사소통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초등학생들과 만나는 시간이 일주일에 7시간 정도됩니다. 요즘 아이들은 생각지도 못하는 것을 물어올 때가 있어 당황스럽습니다. 어떻게 하면 초등학생과 의사소통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먼저 파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 것을 바탕으로 대화를 나누면
의사소통을 잘 할 수 있ㅇ르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좋아하는것에 대해서 물어봐주시면서
아이의 시선에 바라보도록 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칭찬을 많이해주고 지지해주시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 눈높이 에서 대화를 하면 좋을 것 같아요.
일단은 아이들이 마음 편하게 대화를 할 수 있도록 언제나 들을 준비가 되어 있다 라는 느낌이 들게 해야 합니다.
의외의 질문을 던졌을 땐 당황해 하지 마시고, 같이 찾아 볼까? 너는 어떻게 생각해? 하면서 아이의 의견을 물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초등학생과 의사소통을 하고 싶다고 하신다면
학생들의 관심사를 바탕으로 대화를
나눠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가장 기본적인것은 초등학생의 아이를 질문자님과 동등하다고 생각하거 대화해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많은 성인들이 아이는 단순히 보호해야 할 존재로만 인식하고 있는데 아이들고 성인과 같은 생각이 있는 존재입니다. 아이를 동등한 존재로 생각하고 의사소통에 임해주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과 함께 아이들이 궁금해하는 것을 찾아보고
이로써 궁금증을 해소하는 부분에 대하여 같이 토론해보는 것이 좋을 것 같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양해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학생과 소통하고 싶으시다면 학생이 관심을 보이는 것에 같이 관심을 보이면됩니다. 관심을 보이는 것이 잘 모르는것이면 모르지만 알고싶다고 이야기하고 배우고싶다고 하면 학생들이 관심을 보이는 것들에 대해 잘 알려줍니다. 학생들과 소통할 때 제일 중요한것은 솔직하게 있는 그대로, 긍정적으로 마음을 여는것 부터 하시면 저절로 소통이 될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특정한 시간을 정해 아이의 일상에 대한 사소한 질문을 던져보세요. "오늘 하루는 어땠어"라는 말 대신에 "오늘 학교에서 뭘 했니?" "오늘 학교에서 어떤 걸 그렸니" 같은 질문을 해 보세요. 아이들은 부모가 질문하는 대로 이야기를 늘어놓고 저녁 식사 시간은 즐거운 의사소통의 시간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시간이 실제 얼마나 걸릴까요 결코 긴 시간이 필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