명왕성과 해왕성의 특징과 태양계에서 명왕성은 퇴출되고 해왕성은 남아있는 이유는 뭘까요?
아직도 기억나는 어렸을적 배웠던 수 금 지 화 목 토 천 해 명 인데요. 그래서 궁금해젔네요. 명왕성과 해왕성의 특징과 태양계에서 명왕성은 퇴출되고 해왕성은 남아있는 이유는 뭘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많은 분들이 궁금해 하시는 질문입니다. ^^
명왕성과 해왕성은 둘 다 우리 태양계의 외행성이지만 가장 큰 차이점이 있습니다.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행성의 지위를 잃은것은 작은 크기와 높은 타원 궤도 때문이었습니다. 반면에 해왕성은 훨씬 더 무겁고 다른 행성의 중력에 덜 영향을 받는 더 안정적인 궤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명왕성(Pluto)은 2006년에 국제천문연합(IAU)에서 행성의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므로 왜곡체(dwarf planet)로 분류되었습니다. 이것은 명왕성이 궤도 주위의 천체들과 비교하여 너무 작기 때문입니다.
해왕성(Neptune)은 반면, 행성의 조건을 충족합니다. 해왕성은 태양계에서 8번째로 멀리 떨어진 행성으로, 질량이 충분히 크고 궤도를 도는 주위에 천체가 없으므로 그 궤도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 또한 해왕성은 태양계 내에서 가장 큰 가스 행성 중 하나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유로 해왕성은 여전히 행성으로 남아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과 해왕성은 모두 태양계의 외곽 부분에 위치한 행성입니다. 그러나 이 둘의 차이점은 크기, 구성 및 형태 등이 있습니다.
먼저, 명왕성은 지름이 약 2,377km로 태양계에서 가장 작은 행성 중 하나입니다. 또한, 명왕성은 얇은 대기를 가지고 있으며, 이 대기는 짙은 얼음층으로 덮여 있습니다. 반면에, 해왕성은 지름이 약 49,244km로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 중 하나입니다. 해왕성은 주위를 둘러싼 질량이 큰 대기와 함께 푸른 색깔을 띠고 있습니다.
명왕성과 해왕성의 구성도 다릅니다. 명왕성은 얼음, 암석, 바위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해왕성은 약 80%가 물, 얼음, 암석 등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태양계에서 명왕성은 퇴출되었고, 해왕성은 남아있는 이유는 명왕성이 태양 주변에서 매우 먼 곳에 위치해 있어서 발견이 어려웠기 때문입니다. 또한, 명왕성의 크기가 작아서 태양계의 다른 대형 행성과 비교했을 때 영향력이 크지 않아 행성으로 인식되지 않는 논란이 있었습니다. 반면에, 해왕성은 명왕성과 달리 탐사 장비를 보내서 탐사가 가능했으며, 해왕성의 크기와 구성이 태양계의 다른 대형 행성과 유사하기 때문에 행성으로 인식되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명왕성은 초소 행성으로 분류되었고, 해왕성은 태양계의 8번째 행성으로 남아있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보다 큰 천체인 UB313 즉 에리스를 발견하면서 명왕성의 태양계 행성 자격 논란이 시작되었습니다.
국제천문연맹은 태양계 행성의 자격을 '태양의 주위를 돌아야 하고, 충분한 질량을 가져 자체 중력으로 타원이 아닌 구형을 유지할 수 있어야 하며,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천체이어야 한다.'고 새로 규정했습니다. 이 기준에 따라 2006년 8월 24일, 명왕성은 태양 주위를 돌고 구형인 천체지만 공전 구역 안에서 지배적인 역할을 하지 못하는 천체여서 결국 태양계에서 제외되었습니다. 그에 비해 해왕성은 이런 자격에 모두 만족하고 있습니다.
또한 명왕성의 공전 궤도가 크게 찌그러져 있어 해왕성의 공전 궤도를 침범하고, 해왕성은 명왕성을 무시할만한 크기와 질량을 갖추고 있지만, 명왕성은 해왕성을 무시할 수가 없기에 명왕성은 행성의 기준을 만족시킬 수가 없었던 것이죠.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은 주변의 천체들을 밀어내거나 위성으로 만들지 못했어요. 그래서 명왕성은 이제 태양계의 행성이 아닌 작은 행성, 왜소행성으로 분류가 된 것이에요. 물론 이것은 우리 사람이 명왕성을 바라보는 기준이 바뀐 것 뿐입니다
안녕하세요. 선요섭 과학전문가입니다.
명왕성과 해왕성은 우리 태양계에서 가장 바깥쪽에 있는 두 개의 행성이며 다른 행성과 구별되는 몇 가지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왕성은 가스 거대 행성으로 주로 수소와 헬륨 가스로 구성되어 있으며 작은 암석 핵이 있습니다. 지구 크기의 약 4배이며 강력한 바람과 폭풍이 특징인 두꺼운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해왕성은 고리 체계와 태양계에서 가장 큰 위성 중 하나인 트리톤을 비롯한 많은 위성으로도 유명합니다.
대조적으로 명왕성은 작은 얼음 물체로 가득 찬 해왕성 너머의 공간 영역인 카이퍼 벨트에 위치한 작고 바위 같은 얼음 왜성입니다. 명왕성은 지구의 크기의 약 1/5에 불과하며 대부분 질소와 메탄으로 구성된 매우 얇은 대기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것은 5개의 알려진 위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중 가장 큰 위성은 명왕성 크기의 거의 절반인 Charon입니다.
행성으로서의 명왕성의 지위는 카이퍼 벨트의 작은 크기와 위치로 인해 일부 천문학자들이 명왕성을 왜소행성으로 재분류해야 한다고 주장하면서 최근 몇 년 동안 논란의 대상이 되었습니다. 2006년 국제 천문 연맹은 공식적으로 명왕성을 카이퍼 벨트에 있는 다른 유사한 천체들과 함께 왜행성으로 재분류했습니다.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쫓겨나고 해왕성이 남아 있는 이유는 태양계 외곽의 역학과 관련이 있다. 해왕성의 중력은 현재 궤도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강하지만 명왕성의 궤도는 더 불규칙하고 때때로 해왕성의 궤도를 가로지릅니다. 두 행성 간의 이러한 상호 작용으로 인해 명왕성의 궤도가 불안정해지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명왕성이 태양계에서 추방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 과정은 수백만 년이 걸리며 명왕성은 수십억 년 동안 태양계를 완전히 떠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